이런 물리라면 포기하지 않을 텐데 - 광쌤의 쉽고 명쾌한 물리학 수업 지식이 터진다! 포텐 시리즈
이광조 지음 / 보누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물리라면 포기하지 않을 텐데

광쌤의 쉽고 명쾌한 물리학 수업

이광조 지음

보누스



 

배운대로 가르치는게 당연하다 여기던 흐름 가운데 '왜 그런것이지?'라는 물음표를 던지기란 쉽지않지요.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나만의 언어로 답을 찾고 정리하는 것도 쉬운 길은 아니구요. 그래서 우린 배운대로 가르치는 것을 당연히 여깁니다.

스스로 안다고 착각하고 이해없이 외운 것을 다음 세대에게 주입식으로 가르친다면 더욱 본질에서 멀어질 수 밖에 없을 거에요. 주기율표가 중요하다고 가르치고 외우라고 배웠지만, 정작 그 주기율표를 보는 눈을 배우지는 못하는 것 처럼요. 처음 그 주기율표를 만든 사람은 그것을 후학들에게 외우라고 만들어 둔 것은 아닐텐데 말이죠.

 

저자는 자신이 공부한 학문 '물리'를 자신의 언어로 근본 개념부터 다시 접근합니다. 무조건 외우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런것인지 스스로에게 먼저 이해시킨 작업이었지요. 그래서 그 과정을 토대로 풀어놓은 이 책은 중등교육과정에서 다루고 배운 물리를 새롭게 보게합니다.

'물리란 자연을 대상으로 한 오지랖분야'다 라고 한번이라도 생각해보셨나요? 전 그 생각자체가 처음이었어요. 학문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전공으로 다룬 분야가 아니면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외우고 공식을 대입하는 것으로 넘어갔던 과학, 물리영역이 다시보였습니다.

학생때 배웠던 물리는 힘에 대한 공식, 그것을 대입해서 푸는 문제들로, 학교를 졸업하고는 명확한 개념이 안잡힌 채로 양자물리학이라던가 상대성이론 등의 이름으로 연결지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물리가 무엇인지는 이 책을 보면서 생각하고, 왜 이렇게 간단한 식으로 표현되었는지 이제야 알게 되었어요. 물리학은 대상을 '양'으로 표현하고, 숫자 앞에 이름(물리량)을 써서 대상을 명확히 한다는 것. 양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의 이름(물리량)을 먼저 쓰고 양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물리학 표현의 전부. 단지 이것이 유럽에서 먼저 시작되어 영어로 표시되고, 숫자를 단순화하기 위해 단위를 만들었다는 것. 이런 차근차근한 설명이 이어지니 왜 우리가 지금 공통된 단위 (cm, m, kg, s. K 등의 국제 표준 단위)를 쓰는지, 숫자는 왜 지수형태로 0을 늘어놓지 않고 숫자 옆에 작게 쓰는지도 고개가 끄덕여지더군요. 왜 우린 중등교과로 물리를 배울 땐 이런 배경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없을까요. 시험이 나오지 않아서? 시험 문제에 나오는 문제만이 아니라, 왜 그런 문제가 나오고 익히는지 큰 그림을 먼저 그려놓았다면 공부가 한결 재미있게 다가왔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지요.

같은 사실이라도 결과만 아는 것과, 그 전체의 스토리를 알고 있다면 받아들이는 깊이가 다르지요. 이 책은 물리학이 기원전에서 부터 지금 우리가 학교에서 중요하다고 배우는 그 공식에 대해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고, 어떤 과정을 거쳐 나오게 되었는지 말해줍니다. 그래서, 천천히 문맥을 따라 읽으면 숫자도 나오고 기호도 등장하지만, 이미 그것이 물리량을 보다 간결하고 보기좋게 표현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 기호와 숫자들이 품고있는 이야기를 들을 마음의 준비를 하고 보게됩니다.

본질을 파악하고 물리학자가 생각하는 것 처럼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나온 분석에 사용하는 도구 - 평균, 삼각함수-를 이해하고, 뉴턴의 운동 3법칙과 그 법칙의 논리적 연장으로 연결되는 힘의 여러가지 모습- 중력, 중력가속도, 전기력, 수직항력, 마찰력, 장력, 탄성력 - , 시간과 공간의 물리학 까지 사칙연산만으로 핵심적인 역학 개념을 설명해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물리를 새롭게 보게하는 책. 물리학의 기본, 기초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책 《이런 물리라면 포기하지 않을 텐데》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