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클래식
김호정 지음 / 메이트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부터 클래식

클래식을 모른다는 분들에게

 

김호정 지음

메이트북스



 

클래식 음악. 예전보다 문턱은 낮아졌지만 그래도 내가 듣는 이 수준이 과연 제대로 감상하고 있는 것일까 싶은 마음이 들어서인지 괜히 관련 책들에 눈이 가는 요즘입니다. 각각의 책이 다 유익한 경험을 주지만 이 책은 클래식에 더 친근하게 접근하게 해 주는 책이었습니다. 피아노를 전공하고 기자로 활약하는 저자에 대해 피아니스트 손열음, 기자, 방송인의 추천사를 읽고 나서 더 기대하는 마음을 가지게 해주었던 책이었어요.

격식있게 차려입고 무대 중앙에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연주자들이 들려주는 음악을 듣고 감상하는 것. 그것이 클래식이라 여겼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겐 실수란 없는 줄 알았지요. 그런데 실수를 연발하는 연주자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려주네요. 그것도, 그 연주자들이 대중의 관심을 끌고 그 연주가 매진되었다는 것! 그리고, 아름답고 고운 목소리가 디바의 요건이 아니라는 것도 '세기의 디바'라 불린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의 예를 들어 언급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유의 소리'라는 것! 클래식 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첫 장에서부터 나의 편견이 깨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무대에 올라서는 연주자들에게도 무대 공포증이 있다는 이야기. 그것도, 이름만들으면 바로 알 수 있는 음악가 - 쇼팽도 대중 앞에서 연주한 횟수는 30회 정도 뿐이라니! - 들도 무대 공포증을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 그리고 그것을 매 순간 안고서 연주하고 있음을 보며 보다 인간적으로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이 책에는 평소 궁금했지만 어디에 물어봐야 할지 몰랐던 질문들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었습니다.

악보는 왜 외워서 연주하는 건지, 앙코르에 대한 이야기, 지휘자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등의 이야기 말이지요.

그리고 음악을 작곡하고 연주한 이들의 이야기와 작가가 직접 만난 연주자들의 이야기가 함께 담겨 클래식을 더 가까이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누군가를 알고 그 상황을 알면 그 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듯이 작곡가들의 이야기를 접하고 나니 그 곡이 이전처럼 낯설지 않게 느껴지더라구요.

기자로서 저자가 만나고 겪은 상황과 그 속에 담긴 저자의 통찰과 해석도 이 분야를 잘 몰라 무심코 스쳐갔던 나에게 인상깊은 기억을 남게 해 주었구요. 또 각 장에는 QR코드로 글과 관련된 음악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것도 좋았습니다. 평양에서 울려 퍼진 뉴욕 필 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 그것도 로린 마젤의 지휘로 선곡된 그 곡들을 직접 들을 수 있다니. 책을 보지 않았다면 경험하지 못했을 것들이었지요.

 

시리즈로 연재되는 신문의 '클래식 들여다보기' 같은 느낌. 그래서, 어느 챕터부터 읽어도 부담없이 관심이 가는 것부터 보다가, '이 글 참 좋네'싶어서 처음부터 다시 찾아보며 읽게 되는 글. 그 글들이 모여 엮어진 책이란 느낌이 드는 책. 클래식을 입문하는 이들에게, 평소 궁금했지만 대답해줄 이가 없어서 그냥 넘겼던 이들에게, 이제부터 클래식을 들어볼까 하는 분들에게 친절하고 쉽게 다가오는 클래식책 《오늘부터 클래식》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