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의 작은 과학 3
나카가와 히로타카 지음, 다카바타케 나오 그림, 전예원 옮김 / 상상의집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 _ 내 옆의 작은 과학 ③

나카가와 히로타카 글, 다카바타케 나오 그림

상상의집

 

길을 걷다가, 바닷가에서, 산에서, 아이의 관심사는 무궁무진 뻗어갑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돌입니다. 반짝이는 돌, 색깔이 하얀돌, 검은돌, 둥근돌, 모난 돌, 마름모꼴인 돌... 가지 각각의 이유를 들어 돌을 집에 가져오고 싶어하지요.

돌은 처음부터 그 모양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왜 우리가 곳곳에서 만나는 돌들은 각기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일상에서 우리 아이들이 가졌을법한 호기심에서 시작해서 돌의 생성과정과 우리가 일상에서 그것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그리고 철학적인 갈래로 뻗어가기까지 복잡한 이야기를 명료하면서도 친근하게 담아내고 있는 그림책, 내 옆의 작은 과학 시리즈 세 번째 책 《돌》로 만나보았습니다.

 

조개가 들어간 봉골래 파스타, 무척 맛있는 음식이지요.

책에 등장한 아이도 이 음식을 먹고 있었나봐요. 그런데, 반갑지 않은 식감을 느낀 순간, 와작! 돌이 나왔네요!

 

밥 먹다가 '돌'이 나왔다는 말, 우리도 종종 쓰지요. 아이가 한 표현에 엄마는 '모래'구나 하고 정정해 주네요.

돌과 모래가 다른 것인가?

책 속 아이의 질문과 독자의 생각의 흐름이 같이 가는 순간, 다음 이야기가 어떻게 나올지 더 궁금해집니다.

돌이 작아져서 모래가 된다는 엄마의 말.

말로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어떻게 조개 속에 '모래'가 들어 있는지, 돌이 모래가 되어 바다로 오기 전의 상황으로 직접 이동하네요.

♬ 바윗돌 깨뜨려 돌덩이, 돌덩이 깨뜨려 돌멩이, 돌멩이 깨뜨려 자갈돌, 자갈돌 깨뜨려 모래알

이 노래가 떠오르는 여정이었어요.

엄마와 함께 물줄기의 시작점에서 부터 만나는 돌(암반)에서 작은 물줄기가 강으로, 바다로 바뀌는 주변 풍경을 보며 물의 힘이 돌을 어떻게 바꾸어가는지 눈으로 확인합니다.

바다까지 가서 주변의 가게에 들러서도 돌을 보게 됩니다.

반찬가게에서 보게된 반찬들 위에 올려놓은 누름돌, 국수가게에서 본 맷돌,건물을 만들고 화살촉과 칼, 돈 등을 만들때도 사용한 돌.

 

지구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지각.

조개 속에 있던 모래를 떠올리며, '내가 씹었던 것은 지구의 부서진 조각이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장면에서 지극히 과학적 유추이면서도 문학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저만의 생각일까요.

돌에 관해, 깊이 들어가지 않지만 아이들이 주변에서 보고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

내옆의작은과학③ 돌 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