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20.11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샘터 2020.11월호

 

벌써 가을이 완연한 때가 되었습니다.

단풍도 노랗게 붉게 물든 지금, 샘터 11월호가 집으로 도착하였습니다.

책을 펼치면 늘 먼저 시선이 머무르는 곳이 표지, 목차, 그리고 발행인의 글이 담긴 '좋아도 그런마음'코너입니다.

발행인이신 김성구님의 글이 따뜻한 것도 있지만, 이번 호에 실린 글을 보면서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어 그 소재나 배경이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같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습니다. 한 달이 지나면 깨끗하게 봐서 새 책 임에도 불구하고 '과월호'로 분류되 헌 책이 되는 잡지의 특성상 그 수명이 짧다고 생각했었지요. 하지만, 병원에 도서를 기증 받을 때 가장 인기가 많은 책 중 하나가 이 '샘터'라는 것을 듣고 시간이 지나도 사람의 진심이 담긴 이야기들은 살아남는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예전 샘터의 짧은 글을 읽고 글을 쓴 발행인의 글이 마음에 와닿았지요.

배추값이 금값인 요즘입니다. 태풍이 지나고 늦은 장마 때문이어서 그렇다고 하지요. 배추이야기가 '느린 여행자의 휴식' 코너에서도 등장하네요.

소소하게 텃밭을 일구시는 분이 건네주신 귀한 배추 한 포기를 들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배추 겉절이를 만드려고 배추를 다듬으며, 배추 겉잎으로 우거지를 만들면서 이번 호에 소개된 할머니의 부엌수업의 '시래기 감자탕'이 떠올랐습니다.

먹거리를 계속 생각하는 입장에서 샘터의 고정코너인 '할머니의 부엌수업'은 식탁 메뉴에 도움을 주는 글인 동시에 깊은 손 맛 만큼이나 소설같은 그 분들의 인생을 들을 수 있어서 꼭 챙겨봅니다. 가정을 실질적으로 책임져야 했던 할머니의 젊은시절. 궂은 일 마다않고 특기인 요리를 살려 식당을 차리고 악착같이 키운 4남매... 그 시절 할머니들이 모두 다 그렇게 살았다고들 하지만, 매 달 소개된 분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다시금 감탄하고 존경스럽고 또 고맙다고 말해드리고 싶습니다. 짧게 나온 레시피도 다시 보게 되구요.

가을이라 그런걸까요.

떨어지는 낙엽처럼 사라지는 시간이 아쉽게 느껴집니다.

'길모퉁이 근대건축'에서 소개된 '사라지지 않고 살아남아야 하는 마을'- 대전 소제동 철도 관사촌 도 더 애틋하게 다가왔네요.

매 월, 새롭게 만들어지는 이 책자에

무슨 이야기가 어떻게 담겨질까, 어떻게 사람들을 찾아서 이런 이야기를 담아낼까 볼 때마다 신기합니다.

그리고, 샘터 덕분에 집에서 이 많은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듣게되구요.

창간 50주년이 지나도 계속해서 폐간되지 않고 살아남아주기를 바라는 독자들의 마음에 제 마음도 담아

오늘도 감사히 [샘터]를 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