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잘난 척 인문학
김대웅 지음 / 노마드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

김대웅 지음

노마드



서구 영어의 관용적 표현 중에서 상당부분이

그리스 로마의 사상인 헬레니즘과 그리스도교 사상인 헤브라이즘의 토대위에서 만들어 졌습니다.

그 사상들 위에 뿌리를 내리고 만들어진 문화이기 때문이죠.

신화이야기, 성경이야기 속 관용어구라고 할까요, 연계되는 표현들을 이 책을 통해서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제우스 신 이야기 이전의 신들과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제우스가 티탄족과 싸워 이기고 코스모스의 시대를 연

제우스와 올림포스의 12신에 대한 이야기, 자연과 관계있는 반신과 괴물들, 신과 인간의 만남, 트로이 전쟁 부분으로 나뉘어

1부에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유래한 영어 표현을 알려주고 있었고

2부에서는 성경의 신약과 구약편으로 나누어 그 표현을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2부 성경에 관한 이야기에서는 카톨릭 성경을 중심으로 본문을 삼고 있었으며, 영어 성서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부터

필요하면 유대교 설화나 신비주의 문서에서 그 근거를 찾아 현재 쓰는 표현의 유래를 이야기 하기도 했습니다.)

카오스에서 형태가 갖춰진 물체 kosmos(코스모스)가 창조되었는데, 그리스어로 질서, 조화, 정연한 배열을 뜻합니다.

라틴어로는 cosmos로 표기하며, 영어로도 cosmos라고 표현하지요.

여러 관련 표현 중에서 Cosmos는 얼굴을 정연하게 해주는 cosmetic(화장품)이라는 단어를 탄생시켰다는게 신기했습니다.

화장이 카오스에서 코스모스를 창조해내는 작업이라는게 웃프기도 하구요.

영화로 널리 알려진 초호와 유람선 '타이타닉'이 티탄족 -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거인 자손들 -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

만약 배 소유주들이 신화에 대해 조금만 알고 있었더라면 파괴적 행위를 담당했던 신화에 나오는 티탄족의 이름을 배에 붙였을까 하는 물음도 던지고, 'The weary titan'(기진맥진한 타이탄)은 영국이나 구 소련처럼 '전성기가 지나 기세가 꺾인 대국'을 가리킨다는 것도 알게되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금속인 티타늄도 타이탄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하네요.

'샘소나이트'라는 여행용 가방 상표 들어보셨지요?

성경에 나오는 삼손과 들릴라의 삼손(Sammson)은 일반적으로 '장사', '힘센 남자'를 가리키는데

샘소나이트(Samsonite)도 Samson+ite(종족을 뜻하는 접미어)=삼손족, 즉 튼튼하다는 뜻 을 지니고 있다고 하네요.

한번도 연결시켜보지 않았던 상표이름에서도 이런 유래가 있다는 것이 새롭게 다가 왔습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파생된 표현과 성서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표현을 설명하기 위해

신화와 성경의 내용을 설명하는 양도 상당해서 처음 신화와 성경을 접하는 사람도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책

알아 두면 잘난척 하기 딱좋은 [신화와 성서에서 유래한 영어표현사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