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작가실록 3 : 인문 -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작가실록 3
박정란.서재인 지음, 지효진 그림 / 상상의집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작가 실록 3.인문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성학집요, 택리지, 목민심서, 조성상고사

글 박정란 서재인, 그림 지효진

상상의집



한 시대를 알기위한 방편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에, 그 시대에 나온 글들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거에요. 그 글이 막연하게 나올리는 없지요.

어떤 글이든, 사람의 생각이 담겨있고 그 생각은 사회의 모습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니까요.

그런 측면에서 '조선작가실록'시리즈는 역사가의 관점에서만 들여다 보던 시대를

다양한 저자들의 작품을 통해 보는 새로운 시선을 가지게 합니다.

1편인 소설, 2편인 수필에 이어

이번에 3.인문 편이 나왔답니다!



 


앞선 책에서는 다양한 작품을 많이 소개하고 싶은 저자들의 마음이 담겨있어서 여러 작가의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인간과 인간의 문화'를 담은 인문편에서는

4명의 작가에 집중하여 책에 깊이를 더하여 시대를 연관해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그 첫째로 나온 인물은 바로 '이이'

우리나라 오천원권 화폐에 나오는 인물이기도 하지요.

성리학으로 유명한 이이, 그의 어머니가 신사임당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항상 이황과 이이의 저서가 혼동되었는데요, 이이가 16세에 왕위에 오른 선조를 위해 여러 유학의 경전에서 발췌하고

자신의 생각을 더하여 쓴 '성학집요'라는 것, 이번에는 확실히 머리에 들어왔네요.

(이황의 저서는 그림을 곁들인 '성학십도'구요.)

그나저나 선조라면..임진왜란 전쟁 때 조선의 임금이었던 그!!

맞아요. 사림이 정권을 잡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지 않았았다면, 그래서 당파싸움을 하지않고

이이가 건의한 '시무육조'를 따라 병사를 길렀다면...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었습니다.


 
                      

만화로 되어 있는 '작가에게 듣다', 내용을 풀어 쉽게 설명한 '고전 속으로!',

확장하여 생각할 수 있도록 관련된 내용을 심화하는 내용까지

한 작가와 책의 내용이 나오기까지의 다양한 상황과 그 때의 모습을 알 수 있도록 되어있었습니다.


 



'아주 특별한 대담'도 인상적이었어요.

작가와 당시에 연관된 인물을 실제 대담현장으로 초대한 듯한 대화를 통해

분명 수세기의 차이가 나는 이들인데도 가까운 사람의 일을 알아가는 것처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연이어 나오는 이중환의 '택리지', 정약용의 '목민심서', 신채호와 '조선 상고사'를 통해서도

제목만 알았던 저서와 이름만 들었던 저자가 이웃의 이야기를 알아가듯, 그 시대가 그러한 인물과 책을 낳았고, 그 인물과 저서가 있었기에 그 시대가 그런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인문학이라고 하면 서양 고전만 떠올리던 사고에서

우리의 역사속에 녹아져있는 이들의 문화를 담은 책을 새롭게 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른 시대에도 이렇게 다양한 작품들을 찾아 보여주는 책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며

(한편으로는 이전시대에는 다양한 작품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는 사실에 아쉬움도 느끼며)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 작가 실록 3. 인문'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