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스타실록 - 어둠을 밝힌 불꽃이 된 사람들, 독립운동가로 보는 한국 근대사 한국사 스타 시리즈
최설희 지음, 신나라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운동 스타실록 :: 독립 운동가로 보는 한국 근대사

글 최설희 그림 신나라 감수 김태훈

상상의집

 
 

올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일본치하에서 독립을 위한3.1운동이 일어난지도 100년이 되는 해 입니다.

누구의 지배하에도, 전쟁의 경험도 없는 지금 세대에게 이것이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요.

우선은 그 당시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려주는것이 선행되어야겠지요?

독립운동가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독립운동 스타실록]으로 당시 모습을 살펴보았습니다.

 
 

우리의 근대사를 짚어보면서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입니다.

급진 개화파에서 김구 선생님의 이야기, 그리고 오늘날까지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일제시대의 문제까지 다루고 있었지요.

 
 

'일제 강점기'가 아니라 '독립운동기'라고 불러 주세요.

어두운 시기지만 빛은 있어요.

우리 같은 독립운동가들이 불꽃처럼 활활 타오르고 있잖아요. 우릴 기억해 주세요.

당시의 독립운동가들과 인터뷰를 상상한 첫 페이지의 글이 마음을 울립니다.

진짜 인터뷰를 했어도 이렇게 말하셨을듯 했거든요.

'독립운동기'. 늘 당시의 힘이 강한자의 입장에서 부르던 이름 '일제강점기'에서 우리의 관점에서 말하는 '독립운동기'

이 용어부터 시대를 새롭게 보는 눈이 열리는 것 같았습니다.

 
 

늘 일본은 나쁘고 모든 죄는 일본에 있다고 여겼습니다. 적어도 국모인 명성황후를 시해한 것은 누가봐도 잘못한 것이잖아요.

그런데, 조선 말, 개화를 진행하며 나라를 위한다는 명분아래 청나라와 일본에 기대며

각각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것에도 양보할 수 없었던 상황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역사에 만약이 없다지만, 첫 단추가 어떤 관점에서 시작되어있는지 보고 잘못이 있다면 즉시 고치는 마음이 있었다면

일이 청나라와 일본의 세력싸움으로 번지는것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요.

민심을 돌보고, 자기 가문만 돌보지 않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볼 수 있었더라면...

언제나 '이랬더라면'하고 들여다 볼 수 있는 특권은 후대의 것인가 봅니다.

역사를 공부하고 들여다보아야 하는 이유도 그것이겠지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나아가기위해서 말이에요.

그렇게, 구식군사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것이 임오군란으로 이어지고, 그것을 막기위해 민씨일가는 청나라를 끌여들이고

일본과 손잡고 있던 급진 개화파는 일본에 기대지만 갑신정변을 일으키다 3일천하에 끝나고 갑오개혁도 일어나지만 이미 들어온 일본세력은 이것도 자신들의 구미에 맞게 고치려하고, 국모인 명성황후까지 시해하고...

청나라와 싸움에서 이긴 일본은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힘을 행사하고

그렇게 우리의 일본에서부터의 '독립운동'은 시작되지요.

차츰 일본은 우리의 국권을 앗아갔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일본에 맞서 무장투쟁으로, 해외에서의 독립운동으로, 만세운동으로

죽음을 불사하며 원수를 처단하는 행동으로, 글과 교육으로 독립운동을 이어갔습니다.

그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과 그 속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들의 이야기와 함께 나와있었습니다.

 
 

각 인물의 삶과 그 시대 역사를 함께 볼 수 있는 연표가 나와있어서 더욱 좋았지요.

역사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라는 것이 더 와닿기도 하구요.

그분들이 그 시대에 그렇게 활동하던 것이 영웅이기 때문이 아니라,

시대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라는 것도 생각하면서요.

 
 

3월 1일 즈음, 지하철 역 앞 광장에 서있는 안중근 의사 동상 근처를 지나다가 담아놓은 사진을 꺼내봅니다.

그토록 소중히 여기던 태극가가 휘날리는 거리를,

독립운동을 위해 전력을 다했던 이분들은 얼마나 거닐고 싶으셨을까요.

독립운동가로보는 한국 근현대사.

인물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기를 살펴볼 수 있어서 더욱 친근히 느껴진 역사이야기

3,1운동 100주기를 맞는 지금, 꼭 다시 짚어보고 읽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