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학생을 위한 개념 한국지리 150 - 사회 과목이 좋아지는 탐구활동 교과서 ㅣ 교과서 잡는 바이킹 시리즈
고은애 외 지음, 구연산 그림, 전국지리교사모임 감수 / 바이킹 / 2018년 12월
평점 :
초등학생을 위한
개념 한국지리150
사회 과목이 좋아지는 탐구활동 교과서
고은애, 김영미, 문상온, 박효연
지음
전국지리교사모임 감수, 구연산 그림
바이킹
사회가 어려워진다는 초등3학년.
어렵다기보다는 낯선용어와
개념용어들이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게 아닌가 싶어요.
우리가 사는 이 땅, 더불어 그 위에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지리'.
개념을 짚어주면서 흥미로운 질문과 답으로
짧은 호흡으로도 시선을 잡을 수 있는 책을 알고서
아이와 함께
들여다보았습니다.
직접 부딪혀 알게 된 내용 ㅡ경험 ㅡ을
책 속에서 만나면 더 반갑기
마련이지요!
지리는 땅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라는 것을 훑어보고
한국 지리이기에, 한국의 땅 이름 즉 각 도의 이름을
살펴보는데
도 이름 속에 숨겨진 도시이름이 질문으로 등장하네요.
올해(2018년도)는 전라도라는 이름이 붙여진지 무려 1000년이나
된 해이고, 2018년 전라도 방문의 해라고 알리는 팜플릿을 보았는데,
그 전라도가 중심도시인 전주와 나주에서 따온것이라는 것도 다시금
보게되었습니다.
조금 날이 풀리나 싶었는데 날이 다시 추워지네요.
이 추운
겨울바람은 어디서 불어오는 것일까요?
🎵어디서 이바람이 불어오는지
산너머인지 바다건넌지 너무너무 궁금해~~
노래를 부르며
아이들에게 퀴즈를 내었더니
산이라고하고, 바다라고 하고 다양한 의견이 나옵니다.
그때, 오지선다형으로 각 기단 이름을
이야기해주었지요.
답은~시베리아기단!
차를 타고 나갈 때에도
고속도로가 있는데 철도는 왜 필요한지 묻고
같이 생각해보았지요.
혹시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이전에는 생각지 못 한 질문을 하고 이야기나누니 재미있었어요.
책에 설명이
나와있으니 어떻게 답해주어야 할 지에 대한 부담도 적구요.
사회, 특히 직접 전국 팔도를 경험하지 않는 이상, 또 경험한다해도
익숙지않은 용어로 거리감이 있는 한국지리를 친근하게 만드는
호기심을 가지게하는 질문으로 왜 그럴까 생각하게하고 적절한 설명이 곁들어진
책
[초등학생을 위한 개념 한국지리150]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