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야 하는 이유 ㅣ 아우름 32
류승연 지음 / 샘터사 / 2018년 10월
평점 :
[샘터] 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아우름 32 ::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야 하는 이유
류승연 지음
샘터
누군가의 장애가
인생의 장애가 되어 버리지않는 그런
길.
행복하고 건강한 삶에
'장애인 접근 금지'같은 건 없는 세상.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입니다.
장애가 인생의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말.
그러나 그 누구도 '장애'를 인생계획에 넣고싶어 하지 않아요. 저자도 마찬가지 였지요.
국회출입
정치부기자로 세상 두려울것이 없었던 모습에서 장애아이의 엄마로 세상의 모든 시선이 두려운 시간을 보낸 10년.
장애 아이를 세상에
'편입'시키기위해 세상을 향해 말을 하기 시작했고, 이 책은 그렇게 말을 건네는 저자의 두번째
책입니다.
주변에서 발달장애를 가진 이들을 자주
접하셨나요?
다운증후군, 자폐, 지적장애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발달장애를 가진 이들이 다니는 학교나 시설이 근처에
있지 않고는
사실 그리 자주 만나지 못하는것이 대부분일거에요.
저자는 옆에 있는
사람에게 이야기하듯이 말하는 이에게 귀가 솔깃 빨려들어가는 입말로
자신의 이야기는 물론 장애인이 세상속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이유들을 이야기해줍니다.
한 사람의 인간이기 전에 장애를 가진 - 그것이 그 사람의 잘못인양 -
사람을 피하고 '장애인'으로만 보는 시선.
나도 모르게 시선의 폭력을 저지르고 있었던것이 아닌지 보게
되었습니다.
발달장애인은 위험할까.
이 질문에 문득 지난
일이 떠올랐습니다.
안전하다고만은 할 수 없었던 상황.
저자는 무엇이라
이야기할까요.
발달장애어른이 아기를 던진 가슴아픈 일도 있었음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보통의 발달장애인들이 몸을
앞뒤로 흔든다거나
손을 까딱거리는 행동을 상동행동이라 이야기하며 감각의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것임을
알려줍니다.
그 자체가 위험한 상태는 아니라는 것.
발달장애가 위험한 것이 아니라
공격성은 사람 개별성의 문제라는 것.
이유없는 행동은 없다는 것...
이렇게 한
사람으로 이해하고 들여다보면 그들이 위험한 것이 아니라, 정상적이라는 사람들의 폭력과 혐오등
사건 사고가 넘치는
오늘날의 모습이 더 잔인한것이 아닌가 보게됩니다.
그리고, 발달장애가 있다고, 표현하지 못한다고 대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라는 것도 새롭게 보였습니다.
발화는 안되어도 핸드폰으로 문자를 적어 대화하는 모습. 통제되지 않는
몸이지만 보이는 모습이 그 사람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
발달장애를 가진 이를 식구로
둔 사람은 불행할 것이라는 생각도 엎어졌습니다.
행복과 불행을 나의 기준과 잣대로 판단했구나 다시 보게
되었지요.
장애와 더불어 살지만 그들의 삶까지 장애가 있어야
하는가.
쉬운 문체로 이야기를 풀어가면서도 이제껏 생각해보지 않고 동정하는 것이 최선인양 내 나름의 선의를 표현했던
시간들이
미안해지는 순간순간이었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 속에서 장애를 가진 그들을
아는 것과 더불어 그들을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인격체로 대해야지 마음먹게 한 책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세상을
그려보게 하는
[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