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ㅣ 비주얼 클래식 Visual Classic
오스카 와일드 지음, 박희정 그림, 서민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5월
평점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오스카 와일드 지음, 서민아 옮김, 박희정 그림
위즈덤하우스

우리가 익히 아는 <행복한 왕자>의 작가
오스카와일드.
그의 소설이라는 것은 사실 책 표지에 끌려 책을 들고 난 뒤에야 보게된
것이었다.
<행복한 왕자>에서는 잘 알 지 못했던 당시 시대상황과 작가의 성향,
그리고 아름다움 자체에 눈을 돌려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하는 유미주의 운동을 실천하는 작가의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보게되었다.
비주얼 클래식으로 나오게 된 이책은
감각적인 일러스트에
우선 시선이 간다.
만화에서 보는 미소년이 표지에 앉아있다.
창백한얼굴에 비취빛 눈동자.
하지만, 한장을 넘기면서 깜짝놀랄
그림을 만나게된다.
미소년의 아름다운 그림과 섬뜩한 저 그림은
무엇일까.
완벽하게 아름다운 청년 도리언 그레이.
그는 화가가 그려준 자신의
초상화를 통해 자신의 미모에 눈을 뜨게된다.
나르시스가 자신의 얼굴을 비춘 호수에 계속 자신을 비추며 바라보듯, 도리언도 자신의 모습이
영원하길 바란다.
아름다운 외모가 영원하지 않다고, 사라질 거라는 말을 듣고서
이제껏 그리
관심있게 생각하지않던 외모에 대한 강한 갈망이 일어난다.
누구의 말을 듣는가, 그리고 그 말을 듣는 시점이 어떤
순간인가가 이렇게 치명적으로 다가오다니...
오스카 와일드도 자신에게 이렇게 말한 이가 있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 말을 내면화 시켜서 아름다움을 그토록 추구하고 대변한것이 아닐까.
도리언은
오스카 자신의 모습이었는지도...
그 소망이 이루어지는 일이 일어난다.
언제, 누가 그렇게 했는지는 모른다.
그런데,
그일이 일어났다.
자신의 모습대신 초상화속 얼굴이 변해가는 일이!
의도적으로 접근해 도리언을 하나의 실험대상으로
여기고 괴변을 늘어놓는
헨리 경의 사랑에대한, 삶에대한, 쾌락에 대한 사상들이 어느새 도리언에게 물들어가고
있었다.
도리언은 헨리경을 따랐지만 어느정도 양심의 소리를 듣고 잘못을 돌이킬 용기도 내었었다.
하지만, 자신이 결혼을
약속한 여인 시빌 베인의 연극에서 자신이 바라던 모습이 한번 무너지자 그녀에게 모진말을 쏟아내고...
자신의 초상화가 변했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이 자신의 양심을 일깨우는 수단이 될 수 있겠다고 여기고 돌이킬 방법을 찾지만,
이미 시빌은
자신의 생명을 던져놓은 상태였다.
거기서 돌이켜야하는데
도리언은 헨리의 괴변을 또 받아들인다.
연극의 한 주인공이
죽었을 뿐이라고, 자신도 그 연극의 중요한 역할을 맡았지만 크게 상처받은 것은 없다며 스스로를 합리화한다.
죄의 합리화, 그리고
의도적으로 다가와 도리언을 실험관찰 대상으로, 자신의 꼭두각시로 만드는 헨리의 말...
섬뜩했다. 사람이 이렇게
어리석은가 싶다가도, 가까이 있는 사람의 말을 듣고 움직이는 게 우리구나...
그것을 선택하는 것도 그럴듯 해
보이는 것으로 속고 스스로를 정당화 시키는 속임...
우리는 그 사람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 그 사람을 판단할 권리가
있네.
(p.301 바질 홀워드가 도리언에게 한 말)
도리언이 자신의 외모를 믿고, 쾌락을 좇아가는
것은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 황폐하게 만들었다.
그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죽음, 그가 일으킨 죽음,
그리고 피폐해져가는
인생...
자신의 양심이 되어 줄 것이라 생각한 그림이
양심의 면죄부처럼, 자신의 얼굴이 아닌 그림안에 대신 기록되는
사건일지처럼 지내온 시간들.
감추기 위해서, 가책을 잊기 위해서 반복되는 잘못.
잘못된 소원의 시작이었던 자신의 초상화만 없애면
모든것이 선한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까?
...
머리를 어지럽히는 논리와 말장난 같은 그 이야기들이 안타까웠다.
그리고,
저자의 유미주의를 사람들에게 독려하기 위한 글이라기 보다
그 결국이 어떻게 되는지, 이대로 가다간 사람들이 어떻게 될 것 인지 이야기하는
일종의 경고같았다.
예술 지상주의를 이야기하던 오스카 와일드.
하지만, 그 자신이 그 결말이 어떠한 것을 자신의 유일한
장편소설안에 담아놓은 것이 아닐까.
예술을 예술일 뿐이라 유혹하며
상처를 주고 삶을 무너뜨리는 오늘날의 모습을 떠올리게하는 그런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