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킁킁 가게 - 제39회 샘터 동화상 당선작
김윤화 지음, 혜경 그림 / 샘터사 / 2018년 4월
평점 :
[제39회 샘터 동화 당선작] 킁킁가게
김윤화 글, 혜경
그림
샘터

개들은 냄새로 주변을 인식한다고 하지요.
집에서 멀리
떨어져있어도
주변의 냄새를 맡고 주인에게로 돌아온다고.
대신, 시각은 그리 발달되어 있지 않다고 하구요.
사람은
어떨까요.
동물들이 가진 후각처럼 뛰어난 감각을 지닌 것은 아니지만,
분명 사람에게도 냄새, 향기는
강한 인상을 남기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 시간, 그 곳의 향기
오랫동안 익숙해온 고향의 냄새,
땅의 냄새, 공기의 냄새
그 무엇보다도 친밀한 엄마의
냄새.
그림책에 등장하는 '킁킁가게'는
냄새를 파는
가게에요.
냄새값을 낸다면, 동전 소리만 들려줘도 된다는 이야기는 여기서 통하지 않아요.
원하는 냄새를 맡기위해서
매일 아침
일찍 달려가 오백원을 내고 냄새를 맡는
찬이를 보면 말이죠.
찬이가 원하는 냄새는 엄마냄새에요.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엄마냄새는 가게에 없어요.
대신, 엄마를 떠올리게하는 파마약 냄새를 맡지요.
엄마는 미용사였거든요.
여느아이처럼 엄마
품에서 엄마 냄새를 맡을 수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매일 술을 먹고 심지어
엄마의 머리카락까지 뭉텅 잘라놓은
아빠와
엄마는 더이상 같이 있을 수 없었나봐요.
더욱이 미용대회를 앞두고 있던 시점에 그런일을 당했으니...
찬이처럼 매일 킁킁가게를 찾아오는 아줌마가 있습니다. 이분은
아기냄새앞에서 떠나지 않네요. 눈물도 보이구요.
엄마의 품이 그리운 찬이
그리고, 아마도, 아이를 잃은 슬픔에 여전히 잠겨있는
아줌마.
마음을 추스릴 실체없는 '냄새'를 찾아 이곳 킁킁가게에 왔다가
이야기를 나누게 되고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되어주고 있음을
보게됩니다.
찬이는 아줌마에게서 밥냄새, 비누냄새를 맡지요. 엄마에게서 났던 그 냄새를요.
찬이에게서는 아기의 분냄새, 젖냄새는
나지 않지만
아줌마의 아이가 자랐다면 났을 아이의 시큼짭짜리한 냄새가 나구요.
그렇게, 둘은 더이상 킁킁가게에 가지 않게
됩니다.
킁킁가게가
기억속에 남아있는 그 때를 추억하고 떠올리게 하는 곳이었다면, 이제는 그 기억을 딛고
새롭게 시작할 향기를
찾았기 때문이지요.
'킁킁'이라는 단어가 주는 경쾌함때문에
처음에는 가벼운 느낌의 동화책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림책
속에서 만난 이야기는 그렇지 않았지요.
가장 소중한 이들을 '향기'로 기억하고, 그 냄새를 매개체로 다시 삶을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는
정류장이 되어 준 킁킁가게.
문득, 우리 아이들에게는 엄마인 내가 어떤 냄새로 기억되는지 궁금해집니다.
밥냄새?
비누냄새?
분냄새 나는 아가였던 아이들이
이제 시큼 짭짤한 냄새가 나는 아이들로 변했지만 곁에있어서 고맙다 생각하며
내 곁에
있는 사람들과 환경들에 스며있는 '냄새'를 생각하게 해 준 책
[킁킁가게]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