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 - 전통 시장 ㅣ 신기방기 전통문화
정인수 지음, 최선혜 그림 / 분홍고래 / 2018년 2월
평점 :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
신기방기 전통문화 :
전통시장
글 정인수, 그림 최선혜
분홍고래
신기방기 전통문화 시리즈
지금은 쓸모없어 사라져 가는
작지만 소중한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책 시리즈 입니다.
처음에는 전통문화, 그 중에서도 전통 시장에 관한 이야기인줄 모르고 책을
들었습니다.
제목 자체가 너무 궁금했거든요.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는 말은
여러번 접해 보았지만
왜 그런지,
궁금해서 책을 들었다가
더 많은 보물같은 이야기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시골장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단순히 장터에 무엇이 있는가
만이 아니라,
장터가 우리 민족에게 어떤 곳인지 생각하게 되는 책이지요.
우리가 역사 교과서나, 사극등에서 만난
육의전,
오일장, 장터의 모습을 하나하나 짚어주는 것도 알아가는 재미를 주고, 책을 읽다보면
그 속에서 나온 관용어나 속담들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도 알게됩니다.
첫째가 어렸을 때 우리 가족이 머물던 곳은
오일장이 열리던 곳이었습니다.
집 앞에 오일장이 열려서,
장 서기만을 기다렸다가
버섯이며 채소 등을 사서 음식을 만들었던 기억이 있어요.
오래 전부터 있었을 것 같던 오일장, 사실은 임진왜란
뒤부터 생겨났다는 것, 알고계셨나요?
그 전에는 한양 등 큰 도시에만 시장이 있었고
시골에는 시장에 없었어요.
대부분
자급자족했고, 가끔오는 보따리 장수나 등짐장수에게 필요한 것을 구하면 되었으니까요.
임진왜란 뒤에 사람들의 이동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레 시장이 생겼다는 데요,
장사꾼들이 여러 장을 돌아다니면서 장사하다보니
가장
적합했던것이 5일 간격으로 열리는
오일장이었네요.
신기하죠?
이야기형식의 입말로 풀어가는 문체는
누군가가 옆에서 조근조근 설명해
주는 느낌을 받게합니다.
또,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책 중간 중간에 사진과 함께 풀어서 이야기해주고 있어요.
시장과 관련된 속담이
이렇게 많은지도 이번에 알게되었네요.
정확한 뜻도 말이죠!
(아,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는 것은,
생김새는 낙지를 닮았지만 작고 보잘것 없어서 그렇데요.
옛날에는 생선이 귀했으니까 크기가 커야 온 식구가 먹을 수
있는데 말이죠.
못난 한 사람이 동료 전체를 망신시킨다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같은
뜻으로 '과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가
있구요.)
하나 더 알려드릴까요?
돌팔이 의사 라는 말
들어보셨지요?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면서 설익은 기술이나 학식, 물건 등을 파는 사람을 가리키지요.
그 유래도 설명되어 있다는
말씀~
익숙하게 사용하던 말의 유래나 뜻을 정확하게 알게되니 더 재미있어요.
단순히 전통시장의 모습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우리 삶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지
관련된 속담을 비롯한 관용구가
계속나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지요.
우리의 전통시장을 통해 만나는 '신기방기 전통문화'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
다음 시리즈 책이 벌써부터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