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의 요정 - 전자기학의 탄생과 격변의 연대기
이태연 지음 / 동아시아 / 2025년 8월
평점 :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요정의 이미지가 아니지만
다른 의미로 요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제목에 흥미가 느껴져
서평단을 신청했는데 이렇게 책을 받게 되었네요.


책은 크게 1부 ~ 3부로 나눠져 있고 또 그 안에 제목별로 구성이 되어 있네요.

1부 유럽 전기 혁명의 미명
탈레스의 호박으로 책이 시작되는데
정전기란 물체에서 전자가 이동하여 전하가 재배열되고 축적되어 고정되는
현상으로 전하란 모든 전자기 현상의 출발점이 되는물리 현상이며, 물체가 전하를
띠는 것을 '대전 현상' 이라 한다고 설명하네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과 동물 가죽은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가죽으로
플라스틱을 문지르거나 닦는 순간 마찰에 의해 대전되고
전자를 쉽게 얻는 특성이 있는 플라스틱은 전기적으로 음의 성질인 음전하를
띠는데, 이때 양전하를 갖거나 중성을 띠는 물체 (예를 들어 종이, 깃털, 머리카락)를
가까이 대면 이력에 따라 끌어당겨진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총징하여 '정전기 현상'이라고 부르는 것을 알려주네요.

2부 힘에서 장으로, 전자기학의 탄생
10대 시절 뉴턴의 <프린키피아>를 읽고 영감을 받은 독일의 한 청년이
있었는데 이 청년은 기독교적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으며 자랐음에도
수학,물리와 천체운동에 관한 학문에 빠져들었고
당시 과학의 발전 과정에서 여전히 논리와 이성을 중심으로 한 합리론과
감성을 중시한 경험론 사이에 논쟁이 있었다는 것
당대 경험론자인 데이비드 흄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가 이 청년에게
큰 충격을 주었는데 플라톤에서부터 시작한 이데아, 그리고
저 동굴밖 어딘가의 진리는 과학에 빠져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발견하고 싶어하는
대상이었으나, 경험주의의 탈을 쓴 회의주의자 흄이 이 청년에게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고 하네요.
이 청년이 <순수이성 비판>을 집필한 임마누엘 칸트라는걸 알려주면서
칸트의 철학적 방법과 판단력에 대해 계속 이야기를 이어가게 되네요.

3부 맥스웰의 유산과 한계, 그리고 불확실성의 서막
1870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온 맥스웰은 새로운 연구소의 소장으로 임명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헨리 캐버디시의 손자뻘인 데번셔 공작의 후원으로
연구소가 새롭게 설립됐는데, 맥스웰이 이자리에 임명이 된 것이라고 하네요.
'캐번디시 연구소'라 명명된 이곳은 맥스웰학파를 길러내는 기회의 장이
되었다면서 당시로서는 캐번디시 연구소가 어떠한 역할을 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으며, <네이처>에서초차도 독일의 시골 대학 수준까지
올라오려면 10년이 걸릴 것이라 평가했다는 것을 보면 얼마나 무시와
조롱을 받았다는것을 알 수 있네요.
하지만 맥스웰로부터 시작된 개번디시 연구소의 행보는 이러한 비평을
비웃기라도 하듯, 현재까지 3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는
것으로 얼마나 대단하다는것을 누구든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는것을
보여주는듯 하네요.
이책은 우리는 일부 유명한 과학자나 천재들을 기억하지만 실제론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업적이 있었기에 지금의 학문이나 우리가 누리는
것들이 존재한다는것을 보여주는 책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마무리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