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과학사전
이치무라 히토시 외 지음, 김건 외 옮김 / 다락원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년이면 초등학교 3학년이 되어 사회와 과학을 배우게 되는 애물단지..


지금 국어와 수학만으로도 엄마 속은 타들어가는데 내년엔 과연 어찌할지..


조금씩 과학을 접했으면 좋으련만.. 방과후 수업도 모두 멈춘 상태에서


어떤 식으로 과학을 접하면 좋을까 고민하다가 이 책을 만나보았어요



1.jpg




비쥬얼 과학사전




책이 배송되어 오고 전 정말 깜짝 놀랐어요


이 책은 말그대로 정말 사전이네요



생생한 실사 사진과 함께 과학의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방대한 정보..


책을 딱 펴자마자 애물단지도 저도 감탄사를 연발했어요 ㅋ 


비쥬얼 과학사전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생명/ 지구/ 물질/ 에너지 



아마도 우리가 교과 과정에서 배우는 모든 과학적인 지식을


담아두었다고 과언이 아닐 것 같아요



2.jpg



1장 생명에 대해 살펴보기 전


생물의 분류와 진화를 먼저 제시해주고 있네요 



사실 아이들은 생물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처음엔 이렇게 전체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그 안의 세부적인 개념으로 들어가도


기본적으로 어느 카테고리에 속해있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애물단지와 함께 원형으로 표시된 생물의 분류를 보며


지구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원핵생물에서 시작된 생물이 진화를 거쳐 원생생물/ 군계/ 동물계/ 식물계로 발전하고


이 중 동물계는 연체동물/ 절지동물/ 원색동물/ 어류/ 척추 동물로


다시 한번 세분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이렇게 전체에서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들어가다보니


둘이서 표 하나를 읽어나가는데도 시간이 참 오래 걸리더라고요 



3.jpg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고 나서 동물의 세계부터 살펴보기로..


우선은 무척추 동물부터 배워봅니다 



가장 처음 등장한 것은 바로 곤충이에요


곤충은 마디가 있는 절지동물인데요


껍질이 단단한 것에 비해 내부에는 뼈가 없어요



세밀화로 그려낸 곤충의 모습을 보며


곤충의 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어요 



개구리와 장수풍뎅이의 엑스레이 사진을 통해


뼈가 있고 없고의 차이를 직접 보니


애물단지가 신기해하더라고요 ㅋ 



4.jpg



큰 사진으로 보이는 것이 잠자리의 눈인데요


5만개나 되는 낱눈이 모여서 만들어진 곁눈 두 쌍이


잠자리의 눈이랍니다 


여러개의 낱눈으로 사물을 보기 때문에 모자이크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적을 잘 따돌리고 먹이도 잘 찾는다고 해요 


각 곤충들의 눈은 신기하기도 하고


움직임이 보이지 않거나, 색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있어서


여러모로 더 신기하네요



5.jpg




각 부분을 차례대로 차근차근 배우게 되니 곤충에 대해 훨씬 자세히 알게 되는 것 같아요


게다가 각 곤충이 동료와 대화하는 방법까지..


특히 꿀벌의 경우 춤의 방향으로 꿀의 위치를 알려준다고 하니 신기하네요



벌과 달리 곤충의 대부분은 더듬이로 냄새를 구분하는데


이런 특징 때문에 동료에게 페로몬을통해서 전달한다는 것도 배웠어요




6.jpg



2장은 우주와 천체 랍니다



쏟아질듯한 별무리의 향연에 우리 둘 다 감탄사가..


이 사진은 지금으로부터 약 37억 5천만년 후의 지구에서 본 밤하늘의 상상도래요


과학자들의 예측으로는 약 40억년 후 두 개의 은하계가 충돌하여 


하나의 거대한 은하계가 된다고 하네요



현재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살..


우리가 이름으로만 들어본 빅뱅이라는 대촉발로 바생했고 점차 확장되었다고 해요


우주의 역사를 망원경처럼 표현한 사진이 흥미로워요


시작부터 확장되는 과정을 이렇게 보여주니 이해가 더 빠르지요 




7.jpg



우주에 있는 다양한 천체의 모습도 살펴보고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은하계에서 어디쯤 위치하고 있나도 찾아보았어요


수많은 은하계 속 태양계에 자리잡고 우리의 지구


저 광활한 우주의 어느 한 구석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니


일상의 복잡한 일들도 참 하찮다라고 여겨지는 것이 엄마의 감상..


우리 학교가 이렇게나 큰데..우리 동네가 이렇게나 큰데..


어째서 보이지도 않느냐고 생각하는 것이 애물단지의 감상..ㅋ



너무 광활한 크기라 차마 가늠할 수조차 없나봐요



둘이 한참을 들여다보고선 


우오오~~ 멋지다~~ 를 연발했던 비쥬얼 과학 사전



매일 재미나게 조금씩 읽으며 슬슬 과학 지식도 길러봐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