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공벌레박사의 곤충관찰기
마츠오카 다츠히데 글.그림, 푸른나무 옮김 / 바다출판사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공벌레 박사는 곤충이 아닙니다. 정식명칭은 갑각류, 등각목, 쥐며느릿과의 공벌레입니다.
우리가 어렸을때 살짝 건들기만 해도 몸을 동그랗게 말아대는 작은 벌레의 이름입니다.
공벌레는 곤충과 마찬가지로 성장에 맞추어 탈피를 합니다. 곤충의 탈피와는 조금 다르게 새우처럼 몸의 앞뒤 쪽을 따로따로 벗어버려요. 암컷 공벌레에게는 노란색 무늬가 있습니다. 알도 새우처럼 배에 품고, 낙엽을 많이 먹고, 똥도 많이 싼답니다. 그것은 낙엽을 흙으로 돌려보내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우리에게 유익한 동물이라고 합니다.^^
 
이 책은 공벌레박사가 봄에 만난 곤충 애호랑나비의 애벌레부터 관찰하면서 시작됩니다.
공벌레의 눈으로 본 사계절동안 만난 애벌레, 식물. 성충. 그리고 산토끼까지 재미있게 그려져 있습니다..공벌레의 관찰일지여서 그림속에 보이는 곤충들의 모습도 큼직하게 그려져 있어서 보는눈이 즐겁습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보살피게 된 애벌레는 먹성이 너무 좋아서 무당벌레, 달팽이 하늘소까지 찾아와 화를 냅니다..여자친구 달콩이는 먹을걸 좋아하고, 물방개와 장구애비는 배 끝으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숨을 쉽니다.  반면 물땅땅이는 수면에 머리를 대고 목의 양면에 더듬이를 붙여 더듬이에 나있는 털이 물을 튕기면 공기가 배아래로 들어갑니다.
여름에 만난 모시나비는 튤립나무의 잎과 잎의 안쪽에 알을 낳습니다. 더워서 물속에 머리를 집어넣어보니 잎옆에 주머니 같은 수많은 알갱이들이 붙어있습니다. 뿌리도 없이 다른식물에 잎을 휘감고 살아가는 통발이라는 벌레잡이 식물입니다. 주머니같은 알갱이속에서 죽은 물벼룩이 엄청나게 나왔습니다.
가을입니다. 가을엔 초원의 왕자메뚜기가 활약하는 계절입니다. 또한 싸리버섯의 맛이 최고입니다.
겨울엔 공벌레들은 마른잎이나 돌멩이.썩은나무 아래로 들어갑니다. 몸을 동그랗게 말고 봄까지 잠을 잔답니다. 사계절 동안 열심히 관찰일지를 써내려간 공벌레 박사도 도요할머니가 마련해준 성냥갑 연구실에서 겨울을 납니다.
 
따뜻한 봄이오면 여러가지 식물의 잎과 싹이 나옵니다. 잡목 숲에서 열심히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있는 공벌레 박사를 만나러 가볼까요.??
 

이미지 전체보기

이 책은 3학년 딸아이의 2학기 필독서 입니다. 그래서 인지 혼자서 민지의 관찰일지를 만들었네요.
 

이미지 전체보기

책속에서 내용도 베끼고, 공원에서 가져온 팜플렛도 참고하면서 가위로 오리고 붙이고,..
 

이미지 전체보기


이미지 전체보기


이미지 전체보기


이미지 전체보기


공벌레 출판사에서 나온 민지의 관찰일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나라 지리 이야기 - 이우평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우평 지음, 신명환 그림 / 대교출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지도는 지표(지구의 표면)공간의 수많은 정보를 종이에 옮겨 담아놓은것입니다.
지구 겉 표면에 나타나는 여러현상들을 일정한 비율로 줄인후, 기호, 선, 색깔등을 사용해서 표현한것을 지도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지도는 경기도 수원에 있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만듭니다.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만든 지도를 기준으로 , 교실에 걸린 전도를 포함한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여러종류의 지도들이 만들어집니다. ^^
 
이책은 우리지리 알고가기(지도, 우리나라위치. 우리나라영역, 우리땅이야기), 우리자연 둘러보기
(우리나라산, 강, 바다. 기후) 그리고 전국방방 찾아가기 (우리나라의 중심.수도권,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북부지방0 그리고 부록으로 우리나라의 신나는 축제. 지역별특산물등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초등학교 선생님이 만들어서인지.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전반적인 지리에 대한 정보와 우리나라 지리적인 특성,  지리 상식등을 콕콕 짚어 줍니다.
지도를 공부하는 아이들이 더이상 지리를 어렵게 접근하지 않도록..차근차근 안내해주는 지리길잡이 책입니다.

지도를 거꾸로 보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고 합니다. 대륙과 해양양쪽으로의 교류와 진출에 유리한 관문 역할을 할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는 삼천리강산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자세히 알려주고,
지역특산물과 지역축제도 함께 소해해주고 있어서 우리나라를 둘러보는데 지침서가 되는 책입니다.
 
책을 읽고 난후 5학년 아들과 함께 우리나라 산맥, 정맥, 산, 강에 대해서 홈스쿨링을 했습니다
먼저 백지도에 우리나라 백두대간과 함께 산맥을 표시해봤습니다.
 








그리고 투명지(ohp) 를 이용해서 정맥을 표시하고, 다음엔 산,강을 함께 표시했습니다.
 








백두대간(백두산에서 뻗어내린 산줄기가 단한번의 끊어짐없이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1400km의 긴 산줄기)은 우리나라 땅을 대륙과 이어주는 뿌리이자 줄기역할을 하는 것으로, 우리민족의 얼과 기상이 담겨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나라 오천년 이야기 생활사 1 우리나라 오천년 이야기 생활사 2
원영주 지음, 정진희 그림, 이종철 책임감수 / 계림닷컴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우리나라 조상들이 5천년 이라는 세월동안 살아온 모습을 알기쉽게 의.식.주로 나뉘어 있어서

초등3학년 이상 아이들에게 더없이 좋은 역사백과사전입니다.

어떤음식을 먹고, 어느곳에서 살았는지. 무엇을 입었는지를 시대별로 정리를 해놓아서.

초등 5학년 큰아이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사진이 마음에 쏘옥 듭니다. 칼라복사를 해서 의.식.주편을 따로 나누어서

한권의 책을 만들어본다면 더없이 좋은 사회참고서가 될수 있답니다.

두아이와 함께한 이책은 우리조상의 슬기로움과 함께 멋스러움을 함께 느낄수 있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