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 동생 두나 - 정일근 시인의 우리 곁의 이야기 1 ㅣ 좋은 그림동화 17
정일근 글, 정혜정 그림 / 가교(가교출판)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강아지를 좋아하는 딸아이는 책표지만 보고서도 친할머니집에서 키우던 백구와 청룡.해피를 떠올리면서 좋아라 한다. 시인의 표현이어서 인지. 책의 문장들이 살아서 움직여서 두나와 함께 하는 느낌이 들었다. 눈이 참 맑고, 착하게 생긴 두나, 하지만 애완견이 아니어서 하나와의 첫만남에 세찬 뿌리침을 당해, 의기소침하고, 먹는것도 잘 먹지 못하고, 온몸에서 힘이 빠져나가는것 같은 슬픔과 아픔이 있었지만, 두나처럼 여린 마음을 가진 하나는 곧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진심으로 걱정하고, 따뜻한 손길로 보살피는 과정에서 가슴가득 감동이 인다.
강아지를 싫어하는 엄마때문에 집안에서 강아지를 키우지 못하는 우리집 두아이들은 늘 불만이다. 어쩌다 서울에서 새끼를 얻어서 일주일동안 집에서 함께 한후에 시골에 갖다주러 갈때면, 그 누구보다도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학교에 다녀와서도 목욕시키고, 강아지 먹이 챙겨주고, 안아주고, 이야기 나누면서 잠시도 눈을 떼지 않곤 한다.
집에서 강아지를 키울수 없다는것을 아이들에게 주지시키기 위해 마음속 감정과는 다르게 엄하게 강아지를 대하곤 하지만, 사실 강아지의 눈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시간이 어찌가는지 모를때가 많다. 맑고 순박한 강아지눈과, 주인을 위해 꼬리를 흔드는 모습, 강아지라서 잠자는 시간이 많아서 앞발을 가지런히 모으고 낮잠을 자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안아주고픈 마음이 저절로 들곤 한다.
책속의 두나의 모습에서 청룡이를 보고, 백구를 보고, 해피를 보는 아이들은, 한장 한장 책장을 넘길때마다 감동어린 목소리이다. 하나를 바라보는 두나의 모습, 두나를 향한 하나의 눈빛에서 우리아이들의 사랑스런 모습이 교차되어 시골에 있는 청룡이와 백구 해피가 무척 그리웠다.
동물을 사랑하는 아이의 모습이 정말 잘 그려져 있다. 이책을 읽고 난후에 엄마, 아빠를 조르는 아이들이 많아지지 않았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