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살 철학소년 - 생각의 스위치를 켜라
김보일 지음, 구연산 그림, 고흥준 편집 / 북멘토(도서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철학이 어렵다는 편견은 버려~ 이책이 주는 메세지가 아닐까 싶다. 현직 국어 교사이자 독서가이기도 한 저자, 김보일이 학교 현장에서 국어와 논술을 지도하면서 실제로 토론한 자료를 모아 엮은 책이어서 인지 아이들이 읽기에 지치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간결하게 의문점을 제시하고, 거기에 대한 반론을 이야기하고,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은 문장구성이 나처럼 단순생각을 하는 독자에게는 정말 이해하기 편한책이다. 철학책을 이렇게 재밌게 읽을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책장을 넘겼으니 말이다.
79개의 편견에 대한 주제를 나, 생각의 출발점, 생각을 생각하자, 다양한 생각, 다양한 세계, 정의로운 세상을 꿈꾸자, 과학 그리고 우리 삶의 터전등 5개의 주제로 나누어놓아서 각 주제마다 다양한 생각들의 확장을 유도하고 있다. 책을 읽는 내내 형광펜으로 책에 밑줄긋는 일들이 참 많다. 좋은말들이 참 많다, 아,,그렇구나 공감되는 생각들이 참 많다. 그래서 책을 읽는내내 행복하다.
최근 친구들을 만날때마다 외고이야기면, 국제중이야기면 듣는내내 겉으로는 축하를 하면서도 속마음으로는 한없이 부러움을 금치 못했다.집에 와서도 한동안 마음이 콩닥콩닥거리면서 내 아이들을 다 잡았었다. 그런데 책에서 일침을 가한다. 비교의 대상은 나와 비슷한 정도의 능력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사람과 자신을 비교한다면 아무리 좋은 성적을 거두고도 불행할수 밖에 없다. 열심히 하는것은 좋다, 그러나 나의 분수를 아는것도 중요하다. 자신의 분수를 알고, 만족 할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 나는 최선을 다했다. 그러니 어떤 결과가 주어지더라도 만족하겠다. 이런베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은 미래를 예측하는 힘이다. 과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우리는 미래를 예측하는 더욱 큰힘을 갖게된다. 과학과 우리의 삶편은 그런면에서 더욱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새들도 사투리를 구사하고, 인간이 지구의 주인이라는 생각은 오만이라는 생각에도 크게 공감하는 바이다. 지구에 살았던 생물 종은 무려 3천억종에 이르고, 그중에 99.99펴센트는 멸종했고, 지구의 역사 46억년을 1년으로 계산을 해본다면 인류가 태어난것은 고작 12월 31일이 된다고 한다. 역사로보나 숫자로 보나, 엄청난 추위와 고온을 견뎌내는 강철같은 체력만 보아도 미생물이 인간보다 더 오래 지구상에 살아남을것이 틀림없다는 논리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새해에 중학생이 되는 큰아들, 이젠 서서히 자기주장을 펼치는 아들, 그 아들에게 방학동안에 한단락씩 함께 읽어보기로 했다. 엄마가 하는 이야기는 잔소리지만, 책속에서 나누는 이야기는 자신의 진실을 담아 들어주기에, 아이의 생각도 확장시키면서 철학책을 읽는 행복감에 빠져들어봐야겠다.
특히 주제를 담고있는 만화컷도 재밌다. 책의 내용만큼이나 간략하게 그려진 만화또한 즐거움을 전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