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 한 서번트 이야기
캐슬린 루이스 지음, 이경식 옮김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아이를 갖은 엄마들의 바램은 건강하게 손가락과 발가락이 제대로 붙어있기만을 바란다. 내 경우에도 임신 5개월 풍진검사때에 아이가 기형일수도 있으니 재검을 해야한다고 했을때, 기다리는 이틀동안 하늘빛이 노랬고, 주변에 건강한 아이를 갖은 부모들은 그것만으로도 축복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다행이 재검을 하고 난후 아이는 이상없었고, 건강한 아이로 내곁에 머물러 주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몇번의 고비를 넘길때마다 무엇보다도 가장 바라는 마음 하나는 건강한 아이였다.
 
렉스는 태어나면서 부터 앞을 보지 못한다, 게다가 자폐아였다. 하지만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피아노의 각 건반위치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기가 원하는 소리를 낼수 있으면, 한번 들은 피아노곡들은 자신만의 색깔로 바꾸어 연주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하지만 그 능력을 발견하고, 그 능력을 키워나간것은 렉스가 아닌 엄마인 캐슬린의 노력과 믿음이었다. 포기하지 않고,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이 어떤곳이며, 렉스가 만나는 사람들과의 교류며, 공교육에서의 당당한 주장을 펼칠수 있는 아이에 대한 믿음. 아직도 온전히 치료된것이 아니기에 렉스상황은 진행형이다, 하지만 열린사고와 열린마음을 가진 캐슬린이기에 아들과 함께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도록 이세상 어디든지 갈것이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게 때로는 세상을 원망하면서, 주변사람들을 미워하면서 남편과의 이혼등 어려움을 맞이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꾸밈없이 솔직하게 표현한 캐슬린을 통해 많은것들을 반성하게 된다. 힘든상황에서도 아들을 위해서 포기하지 않고, 렉스가 기뻐하면 자신은 그 기쁨을 기꺼이 함께할줄 아는 감사할줄 아는 여인이다.
 
책을 읽는동안 그녀의 눈물겨운 상황들이 자꾸 떠올라 눈물이 난다. 렉스가 소리치고 예민한 반응을 보이면 내가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활자를 통한 느낌만으로도 이렇게 버거운데, 실제로 렉스를 보살피는 캐슬린의 마음은 어떨지,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렉스가 태어났다면 그의 재능이 이렇게 발견할수 있을까? 장애아에게는 일반교육은 커녕 특수교육도 한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이 아쉽다. 장애라는것은 누구에게나 일어날수 있는 일인진대, 아직도 우리나라는 편견이 너무 심하고, 그들과 함께하는 교육정책이 없는것 같다. 그런면에서 미국의 장애인 교육시설은 부럽기도 하였다.
 
이제 막 발을 내딛은 렉스와 캐슬린, 앞으로도 많은 눈물과 좌절, 분노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들에 대한 굳건한 믿음이 있는 엄마가 있는한, 렉스는 더 넚은 세상으로 힘껏 날개짓을 할것 같다.  렉스의 든든한 믿음이 되어준 캐슬린에게 힘찬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