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를 위한 경제 알림장
안현정 지음 / 크리스타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가정에서 하는 경제활동은 다섯 가지로 나눌수 있다. 돈을 벌어들이는 소득, 팰요한 재화나 용역을 구입하는 소비, 돈을 모아두는 저축, 주식, 채권, 부동산을 이용해서 돈을 늘리는 투자, 어려운 이웃을 위해서 돈을 나눠주는 기부, 이렇게 다섯가지 경제활동의 조화와 균형을 통해서 가정경제가 유지된다. 가정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야 국가 전체의 경제도 원활하게 돌아가는 것이다. 엄마들이 가계부를 쓰는것도, 아이들이 용돈기입장을 쓰는것도 모두 적절한 계획을 세워 가정경제를 잘 꾸려나가기 위해서이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문구류랑 기타 물건들을 그때 그때 필요할때마다 구입하기 때문에 용돈기입장쓰기를 시작해도 번번히 실패하고 만다. 경제교육을 받을때만 아이들의 용돈기입장의 필요성을 느껴서 한달에 5000원선에서 시작하지만, 학교 준비물을 준비하는데의 경계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서 며칠만에 도루묵이 되곤 한다. 하지만 이번기회에 용돈을 관리하는법부터 용돈기입장 쓰는예시, 그리고 집에서 할수 있는 홈 아르바이트까지 소개 해 주고 있는 경제 알림장을 통해 체계적으로 용돈을 관리할수 있는 방법을 실천해볼까 한다.
초등6학년,4학년 두아이는 통장에 돈이 쌓이는 재미를 이미 맛을 봐서인지, 용돈을 받으면 모두 저축부터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내 생각 역시도 아이들이 돈이 있으면 쓸데없이 문방구에 들르고, 문방구 앞 오락실에서 게임을 하고, 간식을 사먹고 다녀서 미래를 위하여 저축을 하는쪽으로 권하기도 한다.
또한 요즘 아이들이 받는 특별용돈의 수준은 만원권 지폐부터 시작하기에, 아이들에게 맡기기엔 액수가 큰것 또한 염려되는 부분이다.우리집의 경우에는 엄마, 아빠를 제외한 다른분들이 아이들에게 용돈을 주면 무조건 50%는 엄마에게 되돌려주는 원칙을 두고 있다. (그만큼 엄마, 아빠도 품위유지비가 든다는 명목하에 아이들과 합의본 사항이다 ) 그리고 나머지 50%중에서 절반은 통장에 저축, 그리고 나머진 저축을 하던지, 자신이 필요한것을 사는 쪽으로 유도한다.
돈을 가져보지 않고는 다루는 법을 배울수가 없고, 용돈을 받아야만 돈을 관리하는 연습을 할수 있다는 재무설계사의 말처럼 아이들을 다시 한번 믿고, 용돈의 액수, 용돈의 사용처에 대해서 아이들과 다시한번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