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자의 조건 - 군림할 것인가 매혹할 것인가
이주희 지음 / Mid(엠아이디) / 2014년 11월
평점 :
나는 종종 공항에서 책을 산다. 워낙에 책을 좋아하지만 의대 시절에는 살아남느라 바빠서, 인턴 전공의 시절에는 일에 치여서 책에서 멀어졌다. 다행히 일본 유학 시절, 숨돌릴 틈이 생겼고, 한국에서 열심히 책을 배송받아가며 읽었지만,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서 전임의를 시작하면서 나는 또 다시 책에서 멀어질 수 밖에 없었다. 전임의가 끝난 후에도 책 읽을 여유는 생기지 않아, 주로 해외 학회에 참석하느라 일에서 멀어지는 틈을 타 몇 권씩 허겁지겁 읽곤 했다. 비행기에 갖혀 있는 동안만큼은 책을 실컷 읽을 시간이 확보되니 말이다. 다만 학회 전에는 학회를 준비하느라, 병원을 비울 준비를 하느라 숨이 차게 바빠서 책을 고를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늘 공항에 가서야 급히 책을 사곤 했다.
공항서점은 알다시피 매우 조그만하다. 동네 서점보다도 작은 공간이니 다양한 책을 갖추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학습지에 점령 당하지 않은 공간은 종종 꽤나 괜찮은 책을 턱하니 내놓곤 한다. 이 책은 그렇게 공항에서 우연히 만난 책이다.
"강자의 조건" 솔직히 제목만 보고 책을 고르라고 했다면 절대로 사지 않았을 책이다. 그저그런 자기개발서인 줄 알았을터이니 말이다. 다행히 제목에서 상상되는 내용이 아님을 알려주는 표지그림 덕분에 책을 펴볼 수 있었고,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역사 속에서 한 몫을 했던 제국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어떤 사회가 발전하고 살아남는지를 "다원성에 대한 관용"을 통해 설명한다. 새로운 것, 다른 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하고 그들의 일부로 품을 수 있었던 사회가 확장하고 발전하는 모습과 그렇지 못했던 사회가 어떻게 쇠퇴하는지를 보여주며는 것만으로 우리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순혈주의가 강한 집단에서 교육을 받고 자라오면서, 내가 그 조직의 일원임에도 느낀 불편함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강렬한 불안감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적어도 지금 내가 속한 조직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겠다는 결심을 한 계기가 되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국민 입장에서는, 단일민족이라는 말로 외국인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를 합리화하고, 유교적 또는 기독교적 가치를 앞세워 성소수자들을 역병환자처럼 몰아붙이는 사회적 분위기가 그저 불편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방향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폭력적인 목소리들에 기죽지 말고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해야 겠다고 다짐을 하기도 했으니 내 인생에 큰 영향을 끼친 책 중의 하나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출간된지 수 년이 지난 책이지만, 지금이야말로 이 책을 읽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난 지금도 누군가에게 책을 선물할 때는 이 책을 선물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