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펭귄클래식 13
허균 지음, 정하영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펭귄클래식에서 한국고전을만난기쁨과 한 이야기를 2가지편으로 읽는재미가 쏠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길동전 펭귄클래식 13
허균 지음, 정하영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날도 궃고, 기분도 우울해 그냥 하루종일 책을 읽고, 리뷰를 쓰고 있다.. 원래대로라면 개강하기전 예습이라도 해야된다며 전공서적에 허우적거리고 있어야 하는게 정상인데, 책으로 스트레스를 풀던 버릇에 의해 어차피 공부가 안되는 기분이라면 그냥 오늘 하루만은 책으로 그동안의 스트레스나 풀자싶어 간단한 이야기위주로 읽고 있다.. 그렇게 오늘 하루 읽은 책이 <홍길동전>, <목요일이었던 남자>, <인생의 베일>이다. 몇권의 책을 읽고 있는 중이었긴 하지만, 그냥 새 책을 읽자 싶어 그동안 궁금해하던 책 3권을 손에 잡고 닥치는데로 읽은 결과 오늘이 다가기도 전에 목표량을 다 읽어버리고야 말았다. 

솔직히 <목요일이었던 남자>나 <인생의 베일>이야 새롭게 읽는 책이지만 <홍길동전>이야 많은 사람들이 줄거리를 아는 얘기고 나 역시 수도없이 줄거리를 듣고, 짧게나마 국어시간에 배운 적이 있는 이야기다 보니, 더욱이 2가지 버전으로 읽어도 100페이지정도 밖에 안되다보니 정말 부담없이 읽을 수가 있는 책이었다.. 그래도!! 부담없이 읽은 것에 비해 2가지 버전으로 비교해가며 읽다보니 사뭇다른 느낌의 경판과 완판의 이야기에 또다른 재미를 느낄 수가 있었다. 한두줄로 좋은 태몽을 꾸었다고 표현하던 경판과는 달리 온갖 미사어구를 사용하여 멋진 태몽을 꾸었다고 표현한 완판은 기본줄거리야 똑같지만, 홍길동의 아버지이름을 언급하느냐 그냥 아무개라고 하느냐, 홍길동의 형의 이름이 인형이냐 길현이냐라는 차이와 홍길동의 부인이 2명이냐 3명이냐라는 것, 8인의 길동이가 아버지의 입에 넣은 약이 1개냐 2개냐라는 차이 등등 아주 사소한 부분의 차이와 간결하게 표현했느냐 한문을 잔뜩 사용하여 문장을 화려하게 꾸몄느냐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그렇다 보니 같은 이야기에 다른 느낌이 들게 하는 이야기였다. 허균이 처참하게 처벌받고 난후, 금서로 취급되어 몇백년을 구전으로만 내려오다보니 각 지역마다 차이가 발생했고, 홍길동전이라는 이야기자체도 허균이 지은이니 아니니 하는 논란도 있다지만, 그래도 홍길동전은 우리나라의 멋진 고전이 아닐 수가 없다. 기록이라곤 외규장각도서와 같이 왕의 일과나 국정에 대한 기록이 대부분이고 소설이라곤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처럼 조선시대의 신분제와 사회의 모습에 대한 불만을 가졌던 허균이 홍길동의 이상사회의 건설이라는 모습으로 불만을 표출한 소설이있다는 사실에 정말 뿌듯함을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다..  

어떤 수업시간이었나 어느 책에선가 "결국 홍길동 역시 이상사회를 건설한 후에 자신이 왕으로 그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보면 허균 역시 유교사회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한계이다"라고 한 것을 본적도 있지만 그래도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한" 신분제의 부당함과 그런 세상에서 벗어나 하나의 이상국가를 건설하려고 꿈을 꾼 것만으로도 허균은 그 당시의 깨어있는 사람 중의 한 명이었다는 점은 명확하지 않나 싶다..그리고 허균이 썼든 안썼든, 국문으로 썼든 한문으로 썼든 그냥 "홍길동전"이라는 이야기만으로 충분히 기념비적인 책이 아닐까 싶다.. 이런 멋진 이야기를 우리나라 펭귄클래식에서만이 아니라 펭귄클래식의 원고장 영국 및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펭귄클래식에서 만났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요일이었던 남자 - 악몽 펭귄클래식 76
G. K. 체스터튼 지음, 김성중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G. K. 체스터턴.. 이름도 모르던 작가의 <목요일이었던 남자>라는 책을 읽은 건 "애거서 크리스티, 어니스트 헤밍웨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 등 현대의 대표 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역설의 거장 G. K. 체스터턴의 국내 초역 작품."라는 한줄의 소개글때문이었다.. 더욱이 펭귄클래식의 100권도서목록에서 "애드거 앨런 포, 아서 코난 도일과 함께 '가장 재미있는 추리소설 작가의 한사람으로서 G. K. 체스터턴'을 꼽게 되리라"라는 문장을 읽고나니 도무지 읽지 않곤 못베기게 되었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미스 마플양과 에르퀼 푸아로를 창조해낸 애거서 크리스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 것도, 사랑해 마지 않는 셜록 홈즈의 아버지 아서코난 도일과 함께 가장 재미있는 추리소설의 작가로 꼽게 될 것이라는 것도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나에겐 정말 구미가 당기는 문구였다..  

그래서 여전히 읽지 못한 책이 수두룩하게 쌓여있으면서도, 읽다만 책이 3권(나는 고양이로소이다, 7인의 미치광이, 카프카의 성;;;)이나 있음에도 얇아서 더욱 부담이 적어보였던 <목요일이었던 남자>를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두어시간동안 정말 스릴감을 느꼈고, 온몸의 감각이 곤두선 상태로 과연 이 이야기의 끝은 어떻게 될지 눈을 뗄 수가 없었다..   

그레고리란 이름의 한 남자가 자신은 무정부주의라며 주장하고, 그에 반박해 자신은 기차시간표를 읽는게 더 재밌다는 사임이라는 남자의 논쟁에서 시작되어 비밀회의에 참여하게 되고, 그리고 그 비밀회의에서 대표가 될 수 있던 그레고리 대신에 아무 상관도 없던 사임이 대표가 되는 것부터 시작하여, 그 대표의 이름이 "목요일"이며 일요일이란 사람을 기점으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7인의 사람이 모여 프랑스 대통령을 죽이네 폭발물을 터뜨리네 하며 논쟁을 벌이는 모습이 쉴새없이 이어졌다.. 흡사 애거서 크리스티의 <세븐다이얼스 미스터리>에서 세븐다이얼스란 그룹이 1시니, 5시니 하는 시간으로 불리는 사람들로 구성되어있던 것을 떠올리게 하는 월요일이니 목요일이니 하는 이름으로 서로를 칭하는 모습이 낯설지도 않았고, <세븐다이얼스 미스터리> 역시  어떤 비밀조직에 대해 파헤치기 위해 쉴새없이 뒤를 쫓던 젊은이들의 허탈한 뒷모습이 인상적이었던 터라 사임의 악몽과도 같은 며칠동안의 이야기의 끝이 당황스럽지가 않았다.. 솔직히 도무지 뭐가뭔지 알 수 없는 이야기의 끝이 이 이야기의 묘미이기도 했다.. 

시인이었던 자가 경찰이 된 것도, 그가 경찰이 될 때 단지 어둠 속의 한 남자를 만나기만 하고 경찰이 된 것도 심상치가 않은데 무정부주의자들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잠입한 무정부주의자들의 단체에 경찰이 사임 단 한사람이 아니었다는 것도 심히 당황스러웠다.. 정말 무슨 조직이 7인으로밖에 구성되지 않았는데 스파이가 여럿이나 싶었으니까 말이다.. 그럼에도 서로 같은 편을 찾았다고 안도하면서 자기들 딴에는 나라를 구하겠다며 서로를 쫓고 쫓기는 모습이라니!! 처음 시작은 무의미한 논쟁으로 시작한 것 같은 이야기가 어느새  첩보물로 바뀌었고, 첩보물인가 싶던 이야기가 추격극으로 바뀌더닌 순식간에 기묘한 이야기로 바뀌어버려 있었다..그리고 계속해서 자신의 모습을 변화시키던 이야기는 결국 사임이란 한 남자의 기묘한 악몽과도 같은 현실같지 않은 현실로 되어버렸다..  

확실히 목요일이었던 남자의 "악몽"이란 부제와 딱 맞아 떨어지는 이야기에, 그리고 쉴새없이 이목을 잡아끄는 사건의 연속에 반해버리고야 말았다!! "애드거 앨런 포, 아서 코난 도일과 함께 '가장 재미있는 추리소설 작가의 한사람으로서 G. K. 체스터턴'을 꼽게 되리라"라는 추천글이 아깝지 않은, 정말 걸작이었다고 생각되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순전히 추리물이라는 체스터턴의 브라운신부시리즈에 눈독을 들이게 되었다..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나 애거서 크리스티의 에르퀼 푸아로처럼 인간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성찰력을 가진 브라운신부란 사람은 과연 어떠한 사람일지 <목요일이었던 남자>를 읽고나니 더더욱 궁금해질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요일이었던 남자 - 악몽 펭귄클래식 76
G. K. 체스터튼 지음, 김성중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목요일이었던 한 남자의 기묘한 악몽속 숨가쁘게 진행된 도무지 이해불가능한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의 베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7
서머셋 모옴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치앞도 모르는게, 지나친 후에야 비로소 후회하게 되는게 인생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