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 읽기>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읽기 - 쇼펜하우어의 재발견
랄프 비너 지음, 최흥주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쇼펜하우어라는 이름은 들어본 적이 있지만, 그의 철학에 대해선 전혀 아는 바가 없다. 염세주의자니 욕쟁이니 라는 별칭도 처음 들어보고, 그의 대표작이라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도 모르는 채 그의 철학에 대해 읽기 시작했다. 첫장을 읽자마자부터 쇼펜하우어의 성격이 대강은 알 것 같았다. "지독히도 다른 사람들을 비평하고, 자신에 대해서는 무한한 사랑을 가진 사람.." 그의 철학에 얼마나 염세주의적이고, 얼마나 철학적인지 몰라도, 그는 모든 것에 대해 비판을 했고, 자신에 대해서는 무한한 사랑을 했다.  

쇼펜하우어보단 더 익숙한 이름의 헤겔의 철학을 허풍이라 비웃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심지어는 보기만 해도 더러워지는 느낌을 주는 얼굴들도 있다"라는 말로 헤겔의 외모조차 비판하고, 로시니의 음악은 사랑하지만 자신의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바그너의 오페라는 끔찍이도 싫어하며, 절대자와 유뮬론에 대해서 신랄한 조소를 퍼부으며, 순수자연과학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며, 영혼과 육체, 정신과 물질의 구분을 비판하고, 철학계의 세 거성인 피히테, 셸링, 헤겔을 비웃는, 자신 외에 다른 것에 대해 전혀 우호적이지 못한 사람이 바로 쇼펜하우어였다. 원래 자신과 다른 의견을 지닌 철학자들과 대립을 하고, 끝없이 설전을 벌이는 것이 철학자의 모습이긴 하지만, 쇼펜하우어는 모든게 다 불평불만투성이니, 세상사는데 하나 심심하지 않았을 것같다. 

누군가 인기를 얻는 작가가 나오면, 그 작가의 문제점을 찾아야되고, 자신보다 인기가 있는 철학자의 이론을 하나하나 비판해야하며, 그 철학자들을 좋아하는 독일사람들까지 싸잡아 우매한 사람들이라 쏘아붙이고, 자신의 책을 출판하려는데 미적거리는 출판사들에게 따끔한 한마디까지 해야했으니 심심할 틈이 없었겠다.. 물론, 그의 비판이 단순히 "싫어"가 아닌, 하나하나 논리적으로 비판을 하니 단순한 투덜쟁이가 아닌, 염세주의철학을 낳은 위대한 철학자로 기억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염세주의자로 불릴만큼 그는 수많은 불평들을 했다. 하지만 그의 수많은 불평들이 옳다고 생각되지도 않고, 전부 기억나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인상적인 비판, 그리고 가장 공감하는 비판은 '언어규칙의 위반"에 대한 것이었다.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때론 너무 길다는 이유로 얼토당토 않게 언어를 변화시키는 것이 언어에 있어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비판을 이유였는데, 정말 공감되는 이야기였다. 인터넷에서 쓰이는 축약어와 신조어들이 난무하는 요즘, 정말 몇십년이 흐른 뒤 어법에도 맞지 않는 이상한 말들이 표준어가 될 수도 있는 걱정도 되고, 아름다운 우리말 한글이 무참히도 변하는 모습이 안타깝기도 하다. 어처구니없는 언어규칙 위반의 위협성을 깨닫고, 누구보다도 그런 현실을 비판했던 쇼펜하우어가 있었음에도 새로운 단어들이 표준어로 인정되었던 독일처럼 우리나라도 그런 일을 겪지않기 위해선 청소년이 보는 오락방송에서도 그런 신조어나 축약어의 사용은 자제해야할텐데.. 정말 걱정이 되는 현실이다..

이러한 언어규칙의 위반에 대한 비판을 포함해 수많은 비판을 했지만, 쇼펜하우어는 염세주의자라고만은 할 수 없는 것 같았다. 사전을 찾아보면 염세주의는 "세계나 인생을 불행하고 비참한 것으로 보며, 개혁이나 진보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경향이나 태도", 염세주의자는 '세상을 괴롭고 귀찮은 것으로 여겨 비관하는 생각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의미던데, 쇼펜하우어는 세상을 비관적으로 보기는 했지만, 인생자체를 불행하고 비참하다고 생각한 것 같지는 않다. 자신에 대해 사랑하는 것을 보면, 그는 논리적인 사고로 자신을 돋보이게 하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 불평을 하던 투덜이가 아닐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