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폰, 잔폰, 짬뽕>을 읽고 리뷰해주세요.
-
-
차폰 잔폰 짬뽕 -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
주영하 지음 / 사계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예로부터 한국과 일본, 중국은 교역을 통해 서로에게 새로운 문물을 전하기도 하고, 서로의 이권을 의해 때론 침략을 하고, 침략을 당하며 그렇게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오랜 시간 역사를 같이 해왔다. 그런 영향으로 우리나라에도 많은 식자재가 일본을 통해, 중국을 통해 전파되었고, 사신들의 행차나 이주한 사람들에 의해 서로의 문화가 섞인 독특한 음식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러한 대표적인 음식이 자장면과 짬뽕이며, 우리는 매번 어떤 것을 먹나 고민을 해야하는 음식이지만 막상 중국에 가면 없다고 알려져있는 음식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다시 알게된 자장면은 중국에도 존재하는 음식이고, 중국에서 유래한 음식이 맞다. 자장면과 더불어 중국집의 대표음식인 짬뽕은 특이하게도 중국이 아닌 일본 나가사키에서 유래한 음식이었다. 그리고 이름은 비슷할 지라도 그 생김새나 맛이 서로 다른 중국과 한국의 자장면과, 일본과 한국의 짬뽕.. 부르는 이름은 비슷하고, 들어가는 재료도 비슷하지만 너무나도 달라진 음식들의 모습은 식욕을 자극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자장면, 짬뽕이야 자주 먹지만 일본과 중국의 것은 너무나도 생소하다보니 한 곳에 모두 모아놓고 하나하나 맛을 비교하고 싶다는 욕구를 마구마구 키워주던 이야기들이었기에 읽는 내내 배가 고플 정도였다.
그렇게 자장과 짬뽕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이 책에선 일본과 한국, 중국의 향토 음식들과 먹거리의 문제점과 미래 등 다양한 음식문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었다. 중국의 소수민족의 사라지고 있는 향토음식이나 매운맛으로만 여겨지는 세계 속의 한국 음식, 전통음식으로만 여겨져왔던 한국음식들의 역사와 800여종이 존재한다는 소주에 대한 이야기 등등 하나같이 새롭고, 대부분이 친숙한 이야기들이었다.
그런 이야기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주제는 중국인의 음식생활에 관한 이야기 중 언급된 "2008년, 중국 식품에 드리운 어둠"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똑똑히 기억할 것이다. 중국의 멜라민 분유파동과 납이 들어있던 김치, 공업용 색소를 넣은 고추가루사건, 그리고 가끔씩 tv를 장식하는 납을 먹인 생선 등 중국 식품의 문제로 인해 불거졌던 사건들을.. 그리고 수입과 수출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요즘, 중국의 식품들은 중국에서만 소비되는 것이 아닌 전세계로 수출되기때문에 중국만의 문제가 아닌 전세계의 문제이며, 우리의 문제이다.
멜라민 분유도, 색소고추가루도, 납김치도 모두 우리나라에 수입되었고, 그로 인해 폐기처분되었던 것들이며, 발견되기 전 많은 사람들이 먹었던 식품들이다. 때론 중국자체에서 비용을 아끼기 위해 분유 속에 멜라민을 섞은 경우도 있지만, 원산지를 속여 더 많은 이익을 남기려는 한국상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너무 값싼 것만을 요구하는 사람에 의해 저급의 식품이 수입되어 우리도 모르는 사이 음식점의 음식 속에, 쉽게 뜯어먹는 과자와 가공식품 속에 섞여 우리가먹고 있기에 큰 문제인 것이 식품의 안정성문제이다..게다가 한미FTA협정으로 인해 더욱 쏟아져들어올 한국산과는 비교도 안될만큼 값싼 외국 식자재들..
이런 현실을 보니 어쩌면 정말 30년 후의 한국은 한국 고유의 음식이 남아있기보단, 외국산 재료들이 버무려진채 안정성에 대한 위험을 알면서도 한국에서 난 고유의 재료가 남아있지않아 어쩔 수 없이 저급 농산물을, 비싼 돈으로 사먹으며, 없던 병도 생기는 무서운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암울한 미래를 막기 위해, 무조건 수입을 막기보단, 원산재표시제를 더욱 강력하게 시행하여 먹을거리에 대한 믿음을 주며, 일본의 아야초처럼 유기농먹거리를 보다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저자가 쓴 30년 후의 한국의 모습에 대한 이야기처럼 공동체를 통해 집 주변에서 자신들이 먹을, 믿을 수 있는 채소를 직접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를 해야할 때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