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책쟁이들>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친구들에 비해 나름 책을 많이 읽고, 책도 많이 사보며, 도서관도 자주 이용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 속의 책쟁이들을 보니 나는 책읽는다고 명함도 못내밀 수준이다..
기껏해야 내가 하는 독서는 좋아하는 일본작가의 작품을 위주로, 틈틈이 올라오는 신간베스트셀러와 아직 안읽은 스테디셀러를 중심으로 한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역사와 독서에 대한 책 몇권을 읽는 것이 전부이고, 얼마안되는 책들도 틈틈이 알라딘의 중고샵을 통해 처분하니 우리집 책장은 터질 듯이 가득찼다가도 얼마 후엔 홀쭉이가 되어있기도 하는데...
이 책속의 책쟁이들은 건축업자를 불러 책무게에 의해 집이 무너지지 않을까 점검을 받고, 헌책방을 제집 드나들듯이 드나들며 책을 모으고, 외국에 나가서도 헌책방을 돌아다니며 책을 찾고, 트럭 여러대분의 책을 기증하고도 집에 책이 넘쳐나는 그런 사람들이었기에 처음 읽는 순간부터 기가 죽었다.
도대체 얼마나 오랜 기간동안 책을 모아야 수천권에 달하는 책을 모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책을 모으면서 가장 큰 문제인 보관이란 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었을텐데 이사할 때마다 그 책들을 이고다녔다는 사실이 존경스러웠다. 거기다 인터넷 서점에서 클릭 몇번으로 신간책을 사는 나와는 달리 자신의 전공분야에 대해 한권한권 절판된 책을 구하고, 헌책방을 돌아다니는 모습은 결코 1~2년의 내공만으론 따라할 수 없는 그런 포스가 느껴지기도 했다.(나는 헌책방을 가봐야 기껏해야 아름다운 가게에서 운영하는 헌책방일 뿐 진짜 헌책방은 가득히 쌓인 책의 무게에 눌려 감히 들어가볼 엄두도 못내는데...정말 엄청난 내공이 쌓인 분들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이 책속의 책쟁이들은 감히 따라할 수도 없는 그런 책쟁이들의 모습이었다는 것이다. 알라딘블로거들만 봐도 다양한 책을 읽고, 감히 범접할 수 없는 반짝이는 리뷰를 쓰시는 분들이 많다. 그런 분들의 블로거를 모두 찾아다니며 읽지 못해도, 관심가는 책이 있을 때엔 리뷰를 통해 읽을지말지를 결정하기도 하고, 전혀 모르던 작가의 책들에 대해서도 배우기도 한다. 오히려 이 책 속의 책쟁이들의 범접할 수 없는 그런 모습보단 주변에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독서에서 많은 것을 공감하고, 목표를 세우기도 한다는 점에서 오랜 기간 책을 사랑하고 수집한 책쟁이들의 모습과 더불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소한 독서가들의 이야기도 담았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다락방"님의 구매자 40자평을 읽고나서 책을 읽게되었는데.. 정말 100% 공감되는 이야기였다..)..
덧) 자신이 수집한 장서를 박물관을 만들어 국가에서 관리를 했으면 한다는 화봉책박물관 관장 여승구님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 여승구님은 도서관에서 읽는 책도 아니고, 박물관에서 소장해야할 국보급 보물같은 책도 아니지만 문학을 연구하는데 있어 기초되는 서적들을 모아 책박물관을 만들어달라고 장관에게도 부탁해보았지만 결국 중앙도서관에나 기부하라는 말을 듣고 포기하셨다고 말씀하셨다. 여승구님의 말씀처럼 문화재는 아니지만 그래도 보관하고 연구해야하는 책들을 단순하게만 읽는 "책" 정도로만 생각하고 다루는 현실을 어떻게 바꾸긴 해야할텐데.. 이건 앞으로의 책쟁이들이 차차 해결해가야만 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