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를 리뷰해주세요
피드 feed
M. T. 앤더슨 지음, 조현업 옮김 / 지양어린이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며 내내 인간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할 수 밖에 없었다. 점점 발전되는 기계문명으로 컴퓨터를 사람에 내장하고, 텔레파시처럼 생각만으로 친구들과 채팅을 하고, 머릿속에 울려퍼지는 수많은 광고와 그런 광고를 통해 손쉽게 인터넷쇼핑을 하고, 해외여행을 가는 것처럼 달로 여행을 가는 그런 모습만을 보고 생활이 더 풍족하고 좋아졌다고 할 수 있을지모르겠지만 자신의 의지로 끌 수 있는 TV와 컴퓨터와는 달리 자신의 의지로 잠시 정지할 뿐 완전히 끌 수 없는 피드에 의해 평생을 살아야 하는 것이 과연 인간일까?  

솔직히 타이터스와 링크등 그의 친구들이 컴퓨터나 다른 전자기기를 통하지 않고 머릿속으로만 채팅을 하는 모습을 보며 세상 참 좋아졌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와이브로로 이동중에도 인터넷이 가능해졌다고는 하지만 아무리 작더라도 1kg은 족히 나가는 랩탑이 있어야하는데 그것마저 필요없이, 그리고 고장의 문제없이 피드를 통해 모든 것을 하니말이다.. 하지만.. 완벽해보이기만 하고, 부러워만 보이던 피드도 결국엔 기기일 뿐이었다.. 고장이란 문제가 없을 것이라 여겼던 피드도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해킹을 당할 수도 있고, 그런 이유로 치명적이 오류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버리닌 말이다.. 차라리 작동만 불가능한 것이라면 다행이지.. 인간의 뇌와 그리고 모든 신체기관과 연결되어있다보니 피드의 고장은 자신의 몸조차 자신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게 만드는 존재였다.. 

그리고 당연하다시피 피드를 모든 사람이 갖고있겠거니라는 생각 역시 잘못된 것이었다.. 피드의 보급률을 70%대.. 바이올렛의 아버지처럼 피드를 원하지 않는 사람도 있지만 결국엔 피드의 어마어마한 가격으로 가난한 사람은 피드를 가질 수 조차 없는 상황인 것이다.. 수업을 들을 때에도 모든 것을 저장하기에 시험을 볼 때에도 피드를 이용하는 아이들과는 달리 순전히 자신의 노력으로만 공부를 해야하는 가난한 아이의 학력차, 많은 사람들이 피드를 가졌기에 피드가 없는 것으로 인해 겪게되는 소외감, 취직에 있어서도 자신의 능력이 아무리 뛰어날 지라도 피드가 없으면 취직조차 힘든 상황이라니... 

결국엔 부가 부를 낳고, 가난이 가난을 낳는 세계가 될 뿐이다.. 더 이상의 개천에서 용난다는 속담이 통하지않는 그런 세계가.. 더불어 피드의 고장으로 인한 문제는 병이 아니다 보니 치료를 위해 드는 많은 돈을 결국 피드를 소유한 사람이 내야만 하고, 피드의 수리도 결국 전자기기다 보니 제품보증기간내에만 무상수리가 되는 어이없는 세계가 오고야마는 것이다.. 더불어 피드의 무상수리를 간곡히 요청해보지만 자신들에게 이득이되는, 물건을 구매하는 그런 행위를 하지않았다고 단호히 거절하는 모습에 우울함을 느낄 뿐이다..  

이런 현실속에서 인간은 더 이상 인간이기라 할까? 인간으로서 자신내면의 사유를 하려는 노력도 않하고, 하지도 못하며, 모든 것을 피드에 의존해서만 살아야되는 인간이 말이다.. 물론 자신의 의지가 남아 무엇인가를 사대기는 하지만.. 생각이라는 것 자체를 않하게 되는 인간이 과연 진정한 의미로써의 인간이긴한지 의문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