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전 시집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윤동주가 사랑하고 존경한 시인 전 시집
백석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백석이라는 시인의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당시 선생님께서 백석은 정말 잘생긴, 수려한 외모로 인기가 많았던 시인이라는 것을 말씀해 주셨던 기억이 난다. (이에 덧붙여 말해주셨던 그의 안타까운 러브 스토리도 희미하게나마 생각난다.) 그때 처음 접한 백석의 시가 바로 <고향>이었다. 백석의 고향은 평안북도 정주인데, 그는 젊은 시절 조선일보를 통해 등단하였고 교사, 잡지 편집 등을 하다 서울을 떠나 만주를 거쳐 해방 이후 고향인 정주로 갔다.

 시집을 읽어본 경험이 많지 않다.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본 경험은 사실상 전무하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문학적 감수성이 뛰어나지 않을 뿐더러 평소에 읽는 책들이 투자, 비즈니스 관련 서적들이다 보니 문학은 자연스레 멀리하게 되었다. 평소 책을 읽을 때는 저자가 말하는 바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빠르게 읽으려고 하는 편이었다. 경험상 경영경제 서적의 2/3 정도는 동어 반복이었기 때문이다. 문학은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했다. 백석 시인이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가 무엇일까.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 시에 쓰인 생경한 낱말이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 등을 생각하며 천천히 읽었다. 그래도 어쩔 수 없는 건 시를 보면 줄 긋고 동그라미 치고 필기해야 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드는 것이다. 좋게 말해 분석적 사고랄까. 몸이 기억하는 이 강박은 우리나라 국어 교육의 소산이지 않을까.

 백석은 지방의 고어와 토착어, 고향인 평안도 방언을 즐겨 썼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는 토속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고향에 대한 이야기도 자주 나오는데 자신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 동경이 짙게 배어있다. 몇몇 시에 대해서는 검색을 해봤더니 고향을 표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아닌 해방되지 않은 당시 시대 상황을 감안해 이상향으로 해석하는 관점도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관점을 낳게 하는 것이 문학의 매력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국민이 사랑하는 시인에는 윤동주 시인을 빼놓을 수 없다. 시인 윤동주는 백석의 시를 전부 필사해서 들고 다녔을 정도로 백석을 존경했다고 한다. 본 책 2부에 있는 <흰 바람벽이 있어>라는 시는 윤동주 시인의 유명한 시인 <별 헤는 밤>을 떠오르게 한다. 이처럼 시인들이 존경하는 시인을 꼽을 때 백석의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고 한다. 시인들의 시인, 백석의 시집을 통해 험난한 일상으로부터 잠시 휴식을 가져보기를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