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투자습관 - 주식시장의 숨은 고수 ‘쓰상’이 꿰뚫어보는 돈 되는 가치투자철학
최성환 지음 / 책들의정원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주식투자를 할 때 가급적이면 누구나 알법한 대기업의 주식을 사야 안정적이고 적당한 수익률을 낼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점점 필자의 생각이 완전히 맞지는 않음을 실감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들 수가 있겠는데, 각종 지수 구성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기업 주식들이 ETF 매매의 활성화로 인해 주식과 별개의 문제로 변동성이 확대되었다는 점을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다. 물론 대기업들이 재무상태는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종목 리포트 또한 대기업 위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낮은 시총의 회사에 비해 투자자들로부터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저평가 받을 가능성이 시총이 낮은 주식보다 적은 경우가 많다. 필자가 지향하는 가치 투자를 실천해서 큰 수익을 올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우리가 누구나 아는 회사의 주식보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들어보지도 못했을 작은 시총의 회사를 발굴해서 투자를 한 경우가 많다. 이는 관련 커뮤니티에서 벌어지는 토론만 봐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대부분의 리포트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높은 시총의 회사들 위주로 나온다. 중소형주에 대한 분석을 하는 애널리스트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책의 저자는 이러한 업계의 흐름으로부터 다소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애널리스트들은 증권사 소속으로 증권사의 이름으로 리포트를 내는데, 이 책의 저자는 독립적인 리서치 회사를 만들어서 지금까지 운영 중이라고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는 스몰캡도 커버하며 리포트를 내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공감을 자아내는 부분들이 많이 있었다. 저평가 주식을 발굴하는 데 있어 시총에 한계를 두지 않는다는 점, 남들이 다 아는 투자 포인트나 성장력 분석으로는 접근하지 않는다는 점, 오랜 기간 동안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는 주식에서 투자자들이 몰릴만한 이슈를 찾는다는 점 등 전문적으로 종목 리서치를 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최근의 무역전쟁과 관련해서 원재료 비용 감소 가능성을 보아 사조해표와 샘표식품에 대한 기업분석 보고서를 사전에 냈다는 점은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예전에는 단순히 지표만으로 저PER, 저PBR 주식을 골라내서 투자해도 좋은 성과가 나왔다고 하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오랜 시간 동안 바닥을 기는 저PBR의 주식도 최근의 골판지 업종과 같이 주가 상승을 불러일으킬만한 촉매가 있어야 한다. 재무상태로 한 번 거른다는 점에 있어 무분별한 테마주 투자와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결국 우리 생활, 주변에서 투자 포인트를 떠올리는 것이 중요하고 여기에는 다소 생뚱맞긴 하지만 상상력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근거는 데이터에서 찾는 것이지만 말이다. 여러모로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투자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나 2019-01-18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