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의 중력 - 생의 1/4 승강장에 도착한 어린 어른을 위한 심리학
사티아 도일 바이오크 지음, 임슬애 옮김 / 윌북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들 말하는 사춘기는 10대의 상징이지만, 진정한 사춘기는 20대와 30대 그 사이에 오는 것 같다. 그때 즈음 저마다의 인생에 회의감이 들며 고민에 휩싸이고 방황을 하기도 한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에서는 유교문화의 잔재인지 나잇값이라는 단어로부터 오는 무게감이 적지 않다. 그래서 갓 어른이 된 이들은 고민을 쉽게 털어놓기도 어렵다. 청소년과 중년의 사이의 어른을 생의 1/4 지점이라는 것에 착안해 쿼터라이퍼라고 저자는 말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 쿼터라이퍼들의 고민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심리 치료사이다. 그는 쿼터라이퍼를 의미형과 안정형 두가지로 나눈다. 의미형 인간은 내면의 소리를 듣느라 외부로부터 어려움을 겪고, 안정형 인간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문제가 없는데 내면의 어려움을 겪곤 한다. 저자는 의미형과 안정형인 내담자와의 상담 사례를 통해 분리, 경청, 구축, 통합이라는 4가지의 성장 기둥을 제시한다.

 내담자 4명과의 상담 사례가 대화체로 생생하게 표현된다. 그 중에서도 코너라는 내담자의 사례에 많은 공감이 되었다. 나의 삶과 많이 닮아있다는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그가 느끼는 세상과 인생에 대한 후회가 아프게 다가왔다. 그는 세상, 부모님, 그 외에도 자신을 지켜보는 수많은 이들의 기대에 기준을 두고 맞춰 사느라 정작 자신에게 있는 내면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 사회가 정의하는 성공에 매달리느라 개인으로서 가지는 꿈과 욕구가 희생된 것이다. 코너를 상담하며 저자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꺼내는데 그 중 하나가 골디락스 이야기이다. 내가 어렴풋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을 추측하듯이 정의하지 말고 골디락스 이야기의 여자아이처럼 직접 경험하고 시도해보며 좋고 싫음, 나아가 스스로의 삶을 정의하라는 것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아감으로써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어른의 중력을 극복해낼 수 있음을 저자는 말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 문득 내면의 소리를 따르라는 스티브 잡스의 연설 속 메세지가 떠오르기도 하는 부분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앞서 말한 코너를 포함한 내담자 4명의 사례로부터 자신의 인생, 삶이 투영되는 경험을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여러모로 자신의 인생에 혼란이 일어나는 시점에서 고민을 잠시 멈추고 한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정신적 지지와 더불어 실체적 해결방안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