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용헌의 영지순례 - 기운과 풍광, 인생 순례자를 달래주는 영지 23곳
조용헌 지음, 구지회 그림 / 불광출판사 / 2020년 12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신령한 기운이 빛나는 23곳을 선정하여 그 땅의 기운과 영감을 주는 풍수적인 해석과 느낌을 나타냈다. 풍수는 언제부터 한반도에 전해져 내려왔을까? 역사서의 기록과 벽화에 사신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로 추정하고 있다. 모든 고분이 명당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반도 남쪽에 있는 일부 고분에서는 정확한 혈처에 있다. 그러한 고분이 삼국시대에 조성되었다. 그렇다면 한반도 끝자락에서 명당에 위치한 고분이 있다면 그 이전부터 풍수지리는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명당의 기운을 감지한 지관이 없다면 혈을 잡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땅의 기운을 아는 것은 각종 이론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운을 감지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야 한다. 유명한 산과 사찰의 대웅전은 정확하게 혈처에 자리를 잡고 있다. 근래에 지어진 사찰 중에서 대웅전은 명당의 기운이 감지되지 않는다. 땅의 위치와 형태만을 생각하고 지어졌기 때문이다.

땅의 기운에는 정기와 사기가 존재한다. 정기는 부드럽고 온화하고, 사기는 날카롭고 써늘하다. 사찰에서 고승들이 석탑을 세우는 자리는 터의 기운이 너무 센 지점이거나 아니면 너무 약한 지점이라고 한다. 그런데 석탑을 왜 세우는가? 기운이 세거나 약하거나 하는 지점은 아니다. 대부분은 석탑을 세우는 위치는 사기가 왕성하여 사기를 누르기 위해서 세운다.

영지를 순례한 저자가 직접 답사하고 체험한 곳이다. 산에 풍수적인 해석과 기운을 감지한 내용은 독자들에게 영지를 순례하고 싶은 마음을 설레게 한다. 일상적인 여행에서 땅의 기운을 느낄 수 있는 영지 순례는 또 다른 여행의 맛을 줄 수 있다. 영지 순례의 맛은 ‘입으로 읽지 말고 뜻으로 읽으며, 뜻으로 읽지 말고 몸으로 읽자’로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