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오울프 2 - 베오울프와 화룡
박경림 지음 / 해토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시대에 진정 베오울프의 원전소설이

있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




- 선악의 구도가 해체된 베오울프는 베오울프가 아니다.




오늘날 인간사회의 문화를 선도하는 장르는 무엇인가.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어느 모로 보나 영화야말로 대중을 향한 파급효과로서는 타 장르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볼 수 있다.

오래 전 한 두 명의 시인이 마치 저 혼자 보았듯 읊어줌으로써 청중들로 하여금 그 위대한 이야기를 동경하게 했던 영웅담들은 이제는 직접 관객 앞에 재현되어 보이고 있다.

얼마 전에 영화 트로이를 보면서 여러 주인공들의 행위와 관계가 原典과 다르게 임의로 바뀐 것을 보고 당혹한 바 있었다. 그것은 정해진 시간 내의 상영을 위한 여러 장면의 축약, 흥행을 고려한 극적 긴장의 加功, 세트제작과 톱스타기용에 따른 제작비의 효율성 提高 등 감독의 恣意에 의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영화제작에는 따랐을 것으로 思料된다. 그나마 다행스러웠던 것은 비록 등장인물들의 갈등관계설정이 바뀌었다고 해도 원전의 대강의 틀은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영화를 접하는 많은 대중이 원전을 거치지 않고 영화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애초부터 흥미와 볼거리를 위한 영화라고 솔직히 밝히면서 대중에게 위락을 제공한다면 상관이 없겠으나 관객이 오랫동안 인류가 그 가치를 尊崇했던 고전이라는 선입감을 지닌 채 관람하였을 때는 그 역효과의 영향이 없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문화혼돈의 시대에 아직도 문학이라는 방법으로 고전의 가치를 이어줄 길이 있음은 다행스러운 것이다. 그러기에 문학은 할 수 있는 한 인간이 추구할 올바른 가치를 어떤 외부적 요소에 영향 받지 않고 표현하며 堅持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해야할 문학이 역으로 외부의 비본질적인 樣相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우려될만한 일로서 비단 문학의 위기가 심심찮게 거론되는 우리 한국에만 있는 현상이 아님도 알 수가 있다.

J.R.톨킨이 말했듯이 베오울프의 주제는 '암흑의 힘과 싸워야 하는 인간의 운명'이다. 원전이 지극히 난해하여 베오울프를 崇慕한 여러 작가들이 있는 그대로의 해석을 포기하고 변형된 아류(亞流)의 창작을 통해 창작욕의 대리충족을 한 바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변형 또한 원전의 주제를 지키는 범위 내에서 있어야 한다. 더군다나 원전의 이름을 그대로 따오는 경우에 있어서 원전주제의 왜곡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른바 현대적으로 각색되고 큰 뼈대에 있어서는 원전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하여도 그 큰 뼈대는 단순히 등장인물의 이름과 그 배경을 가지고만 말해질 것이 아니다. 암흑의 힘과 싸워야 하는 인간을 묘사하는 작품이 ‘선/악의 구도가 해체되고’ ‘누가 인간이고 누가 괴물인가’ 헷갈리는 허무주의로 변형되고 만다면 보통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근래 세계의 영화감독과 소설가 등 다수의 창작가들이, 限定된 시야에서 善者然하고 賢者然하는 稚氣어린 수정주의적 사상으로 무장되어, 진리에 대한 허무주의적 태도를 주류화했던 경향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화룡의 행패를 맞아 이것은 아마도 오래된 진리를 거스른 탓이리라고 괴로워한 주인공 베오울프였다. 그 이름을 빌어 ‘옛 법칙’을 어기는 행태를 베오울프의 원저자가 알게 된다면 실로 痛歎해 마지않을 일이다. 고전의 주제를 알지 못하거나 혹은 반대하는 자들이 그 고전의 이름을 빌어 그 정신을 왜곡하는 일은 있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물론 서양은 이미 천여 년간 익숙한 사상(그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근세에 최대의 번영을 이뤄냈지만)에 싫증이 날 법도 하여 그러한 각종의 자유로운 해석을 즐기고 싶어지는 상황을 이해할 만도 하다. 그러나 우리가 그러한 경향을 멋모르고 따라서, 미처 원전의 주제에 대한 제대로 된 해석의 底邊도 없는 상태에서 왜곡된 주제를 오래된 가치와 혼동하여 받아들일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은 베오울프의 주제 그대로를 읽고 소화하여 시대정신의 양식으로 삼아야할 때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