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세대
박경범 지음 / 경성라인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소송직전까지 가다 중지한 ‘태극기 휘날리며’


검토결과 상당량의 장면을 차용했다는 심증은 충분하나 해당사항들이 그리 기발하고 특별한 것이 아니라서 객관적 입증이 어려울 것이란 의견들에 따라 법률적인 소송은 취소한 상태입니다. 단지 문화예술애호가들의 관점에서 판단되어져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소장의 기초였는데 공개장소에 맞게 조금 바꿔서 올립니다.


본인은 1998년 6월부터 11월까지 월간지 ‘한국논단’에 6??25 전쟁 경험자의 구술을 토대로 한 한국 현대사의 배경소설 <잃어버린 세대>를 매월 200자 원고지 200매 가량 씩 分載하였고 1999년 10월 출판사 ‘경성라인’과 출판 계약하여 2000년 1월 출판한 바 있습니다.
본인은 2000년에서 2001년 중에 前 정치인 이○○씨가 대표로 있는 ‘○○○○민족회의’ 사무실에 시국관련 기고문 투고와 관련해서 여러 차례 방문한 바 있었고 그 당시 같은 사무실에 있었던 ○○○(010-○○○○○○○○) 현 ○○○○○○○○○○연맹 회장으로부터 6??25 전쟁 소재로 영화제작을 기획하는데 자료를 구하는 곳이 있다며 <잃어버린 세대>를 원작으로 추천할까 한다는 제안을 받아 同 서책을 기왕에 사무실에 증정한 것들 외에 추가로 2권을 구하여 주었습니다.
당시 ‘네오필름’이라는 기획사에서 <暴風>이란 가제의 6?25소재 영화를 기획한 자료가 있는데(첨부) 기획의도와 주제는 의욕적으로 구상했지만 구체적인 장면 등이 설정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기대했던 소식은 오지 않았고 본인은 작품판매로는 생활수입이 되지 않았으므로 각종 집필용역 등을 하며 지내왔습니다.
그러던 중 2002년 후반부터 한국전쟁을 새롭게 해석한 영화가 제작된다는 소식을 들었고 그것은 본인의 작품이 추구하는 것과 유사했기 때문에 관심을 두고 개봉을 기다렸습니다.
개봉 후 얼마 안 되어 영화를 본 결과 소설 <잃어버린 세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많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본인 또한 고전이나 유명저작자의 작품을 집필활동에 참고한 적이 있었고 작품창작이란 어차피 비슷한 연관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일반론에도 수긍하는 입장이었기에 <태극기 휘날리며>와 <잃어버린 세대>의 유사성을 단지 작자의 주관적 해석이 아닐까 스스로 의심하며 지내왔습니다. 그리고 도용 부분이 상당히 윤색되었기 때문에 원저작물과의 연관성을 입증하기기 쉽지 않으리라는 것도 대응을 어렵게 했습니다.
그러다 지난 4월 시민단체 및 사회활동으로 잘 알고 지내던 한 지인(○○○ 010-○○○○○○○○)에게 이 문제를 상의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인으로부터 <태극기 휘날리며>가 <잃어버린 세대>의 장면을 절취한 것이 사실로 보여진다는, 객관적 입장에서의 조언을 듣고 확신을 갖게 된 것입니다. 


알려지다시피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는 국내 영화사상 최고흥행기록을 세웠으며 본인의 관람 소감도 연출력의 우수함에 공감하는 바입니다. 이렇게 당연히 한국 영화사의 기념비적인 작품이 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석연치 않은 면이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수차례에 걸친 매스컴의 보도에서도 이 영화의 원작은 물론 시나리오 집필자도 공개되지 않는 것입니다. ‘각본 강제규’라는 ‘책임자 명시’만이 있을 뿐인데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같은 모든 방면의 천재가 그렇게 쉽게 세상에 나오지는 않는다는 것이 본인의 생각입니다. 보도에서는 단지 유물발견 현장을 보이는 방송 다큐멘타리에서 아이디어를 따왔다고 하지만 그것은 시작과 끝부분일 뿐이고 정작 이야기의 줄기를 이루는 장면들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습니다.
물론 <잃어버린 세대>와 <태극기 휘날리며>의 총체적인 줄거리는 다릅니다. 하지만 영화제작을 위한 각색에서 어려운 것은 주제설정과 장면의 삽입이지 줄거리 바꾸기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그 주요 유사부분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정식징집대상이 아닌 주인공들이 종로에서 전쟁을 맞는다.
영화 속의 진태는 이미 20대 후반쯤으로 보이고 진석은 이미 학생이라서 두 형제 모두 정식 입대연령은 아니다. 그러나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예기치 않은 참전을 하게 된다.
<잃어버린 세대>에서도 주인공인 고등학생 기영이 국민방위군에 입대하여 훈련에 참가하고 거기서 이미 징집연령을 넘긴 인호를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즉 두 작품 모두 학생과 20대 후반의 두 군인이 등장한다.


- 아내(배우자)에 치우치지 않은 가족사랑을 강조한다.
잃어버린세대의 후반부에서는 주인공이 많은 이념과 사랑문제의 갈등을 경험하고 결국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궁극적 지향점임을 깨닫는다. 영화의 단골메뉴인 남녀사랑에 앞서 형제애를 강조한 것은 같은 맥락이다.  


- 아군이 포위되어 장교들은 계급장을 떼며 전전긍긍한다.
이것은 보편적인 전쟁기록에 있는 것이지만 공통된다.


- 곤경에 빠진 아군을 구하기 위해 언덕위의 적의 기관총 사수에게 접근하여 수류탄을 터뜨린다.
전형적이면서도 극적인 전쟁영웅의 모습이다.


- 주인공은 군대와 함께 전진한다.
북으로 전진하는 것이 일치한다.


- 팽팽한 긴장의 백병전이 있다.
<잃어버린 세대>에는 백병전에 대한 묘사가 강조되어있다.


- 야전병원이 나온다.
주인공(<태극기 휘날리며>의 진석, <잃어버린 세대>의 기영)은 야전병원에 입원한 다시 참전한다.


- 참전 후 집에 돌아와 이제는 가족이 함께 살자고 한다.
<태극기 휘날리며>의 마지막 장면 '이제 우리(가족)도 함께 살자'는 <잃어버린 세대>의 주인공이 전장에서 돌아왔을 때 가족이 하는 말과 같다.

 


물론 이들 여러 사항들은 전쟁의 이야기라면 보편적인 것으로서 그다지 기발하거나 특기할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태극기 휘날리며가 한동안 멀어졌던 6?25 소재를 다시 부각시킨 것으로서 과거의 동일소재 영화와는 달리 신세대에게 어필하는 전쟁묘사를 기도한 것인데 근래 이십년 가까이 6?25를 소재로 한 젊은 작가의 소설은 거의 없었던 중에 본인은 60~70년대의 반공이데올로기 일변도, 80년대의 <태백산맥>, <남부군>과 같은 수정주의식 해석을 떠나 (게재 잡지의 성격상 표면적으로는 반공을 내세우는 것 같지만) 이념을 모르는 순진한 젊은이가 전쟁을 만나 고뇌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그려 신세대적인 한국전쟁의 해석을 시도한 것입니다. <태극기 휘날리며>가 본인의 작품에서 많은 장면을 차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문학실적홍보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고 오히려 본인의 작품창작의도를 묻히고 말게 할 소지가 있음으로 해서, 본인은 <태극기 휘날리며>의 무단도용으로 인해 저작권의 피해를 보았습니다.


이미 분명히 밝혀진 원작을 토대로 영화가 제작되었을 때 감독의 의도대로 영화가 얼마나 원작과 달라지는가를 몇몇 예를 두고 비교해 보면, 영화에서 차용하는 것은 문학작품의 겉껍데기(줄거리)가 아닌 장면과 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의 예로 드는 작품들의 원작과 영화와의 차이를 보면 <태극기 휘날리며>와 <잃어버린 세대>의 유사성은 결코 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트로이 신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 <트로이>에서 아킬레스와 파트로클로스는 사촌지간으로나옵니다. 그러나 원작에서 두 사람은 친구일 뿐입니다. <잃어버린 세대>의 두 ‘의형제’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는 친형제로 변하는 것과 같습니다.
영화 <트로이>에서 아킬레스는 트로이성 잠입을 위한 목마에 숨어들어가 성 안에서 자기가 사랑한 트로이의 왕녀 브리세아스를 찾아다닙니다. 그러나 원작에서는 아킬레스는 목마작전시에는 이미 죽었고 아네네의 왕 메넬라오스가 목마에서 나와 트로이왕자 파리스에게 빼앗긴 자신의 아내 왕비 헬레네를 찾아다닙니다. 그 외에도 많은 원작의 장면들이 인물을 바꾸거나 하면서 차용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소설 <아더왕의 죽음>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오래 전에 제작된 <엑스칼리버>가 있고 최근에 개봉된 <킹 아더>가있습니다. 같은 원작이지만 신화적인 스토리를 충실히 구현한 <엑스칼리버>와, 리얼리즘적으로 당시를 구현하면서도 할리우드식 영웅주의를 나타낸 <킹 아더>가 얼마나 판이하게 다른가는 그대로 드러납니다.
영문학의 고전 <베오울프>를 토대로 제작되어 근래 방영된 영화 <전사 베오울프> 또한 괴물 그렌델의 모친을 유혹적인 여인으로 그리는 등 많은 변형을 가합니다.
가장 가까운 예는 최근 방영되는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은 <난중일기>라는 너무나도 알려진 이야기를 토대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해당 드라마에서는 굳이 현대의 작품인 김훈의 <칼의 노래>와 김탁환의 <불멸>을 원작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줄거리는 다 같아도 장면삽입을 위하여 현대작가의 원작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이것은 물론 해당작가들이 이미 대중적 지명도나 문단의 인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드라마 제작진에서는 단순한 장면차용도 무단으로 하기 어려웠던 고충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원작의 공개가 드라마 홍보에 유리할 수도 있음을 감안했을 것입니다.
제작과정에서 많은 참고를 하고 장면차용을 하면서도 원작자가 무명이라는 이유로, 기타 원작을 밝히면 흥행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로 적당히 얼버무리고 윤색하여 원작의 흔적을 없애려는 의도는 문화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올바르지 못합니다. 이 사건의 문제가 힘없는 무명저작자(저작활동으로 경제적 수익을 바라지 않는 아마추어와는 다릅니다.)의 작품에 대한 유명저작자의 무단도용 풍조에 대하여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될 것을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