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두 인형의 전설 단비어린이 문학
이서영 지음, 유재엽 그림 / 단비어린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서영 글/유재엽 그립/단비어린이

어느 날 갑자기 말하는 대로 이루어지는

인형이 나타났다

수아와 혁주는 이런 인형이 좋기는커녕 무섭기만 하다.

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또, 인형의 정체는 뭘까?

수아와 혁주는 바닥에 떨어진 인형을 보고 줍게 된다.

"혁주라고 생각하고 가지고 놀아야겠다."(p32)

"임수아라고 생각하고 괴롭히면 되겠다."(p33)

(부두 인형의 전설

부두 인형에 미워하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손톱 같은 걸

집어넣고 저주하면 그대로 이루어집니다. 단, 저주가 당신에게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

부두 인형의 저주를 푸는 방법은 인형을 처음 주운 곳에 놔두고

누군가 가져가면 저주도 함께 가져간다고 한다.(88)

서로 장난처럼 화풀이를 했을뿐인데, 실제로 상대방이 다칠뻔하게 되자.

혁주와 수아는 누군가가 싫다고 함부로 저주를 퍼붓는 일이 무서운 거라는

사실을 알게 됐고, 원래대로 되돌려놓게된다.

부두인형이 저주인형이라니 섬뜩하고 무섭다. 잘생겼지만 공부를 못하는 혁주와,

공부는 잘하지만 뚱뚱한 수아의 약점을 서로 이용하는 둘은 앙숙이다.

부두인형을 통해 화풀이를 하다가 실제로 나쁜 일이 일어나자, 다시 인형을

되돌려놓게 되는데, 아이들의 시선에서 쉽게 이해되도록 물흐르듯이

전개된 이야기에 책장을 넘기는 손이 빨라졌다.

외모에 민감한 사춘기 아이들을 보며, 늘 다이어트를 하려고하고,

또, 공부에도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모습이 '부두 인형의 전설'을

읽으며 더 공감하게 되었다.

외모와 공부가 전부인것만 같은 사춘기 청소년들이 '부두인형의 전설'을

읽고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경쟁보다는 배려를 나누었으면 좋겠다.

#부두 인형의 전설 #단비어린이 #가치창조 #이서영 #배려와 존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근두근 첫사랑 단비어린이 문학
백나영 지음, 한수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구 1도 모르는데 방과 후 야구부에 들어가다!

야구부 최초 여학생, 이나의 설레고도 치열한 '야구+사랑'

이야기

우연히 구경한 야구 시합에서 멋진 슬라이딩을 한 정다노의

모습을 보며 이나는 야구부에 들어가기로 결심한다.

"이제 끝이다. 더 이상 내가 초라해지는 일도, 억울한 일도 없을

거다. 잘했다 신이나. 이거 아니라도 재밌는 건 많아. 포기하는

것도 괜찮아. "(p117)

여자라는 이유로 어드벤티지를 주는 것에 나도 책을 읽으며 좀

속상했는데, 안되던 슬라이딩을 끝까지 노력을 해서 해내고야

마는 이나가 멋있었다.

"아무튼 포기할 줄 알았는데 결국 해내고야 말았네."(166)

이나의 모습을 보며 여자아이가 야구를 하는 모습이 보기좋았고,

편견이 깨져서 기분도 좋았다.

요즘은 TV에서 축구를 하는 여자들도 많고, 직업선택에서도 남녀

편견이 없어지는 것 같다.

새로운 운동에 도전하는 이나의 용기처럼, 청소년들이 '두근두근 첫사랑'

을 읽고 도전하고, 실패해도 다시 도전하고 노력하며, 최선을 다했으면

좋겠다.

봄날에 다가온 '두근두근 첫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이름은 루시 단비청소년 문학
임서경 지음 / 단비청소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속 자리잡은 마음의 빚으로 만들어 낸

자전적 성장소설

작가의 가족이 겪었던 일을 소재로 1970년대 루시와 난숙이네

가족을 담담하게 써내려간 '내이름은 루시'

다문화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이제는 우리가 다문화 아이들을 잘

보듬어서 함께 잘 성장하도록 도와야한다.

흑인아빠와 한국엄마사이에서 태어난 루시는 피부색이 검고,

학교에서 놀림을 받지만, 기죽지않고 당당하다.

루시가 사는 꽃드리 마을 사람들은 루시엄마를 '양공주'라고 부르고,

동갑이자 주인집딸인 난숙은 루시를 구박하지만, 도이와 난숙의 엄마가

든든하게 루시를 지켜줘서 마음이 든든했다.

"가슴속에도 길이 있는 것 같구나."

"죽 한 숟가락을 먹으니, 그리움의 길이 열리는 것 같아.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루시 아빠에 대한 그리움."

"두 번째 죽을 먹으니 사랑의 길이 열리는 것 같아. 난숙이네 가족과

루시 친구들의 따뜻한 사랑."

'죽 세번 째 숟가락, 이번엔 희망의 길로 흘러가는 듯 ..."(p116)

아빠와 만나는 장면으로 해피앤딩이 되어 마음이 편하고 따뜻해졌다.

나도 '내 이름은 루시'을 읽으며 1970년대 배경도 다시 알게되었고,

흑인이라는 이유로 더이상 차별받는 일들이 없기를 바란다.

인간은 평등하고 모두 소중하니까.

시대의 아픔속에서 희생양일 수 밖에 없었던 그들을 진심으로 위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를 구하라! 단비어린이 문학
김영주 지음, 안병현 그림 / 단비어린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생에 딱 세 번, 내게 마법을 쓸 힘이 주어진다면, 어디에 쓸까?

이 특별한 능력을 가진 엄마는 어느 날 저녁,

그 마법으로 세 남매를 핸드폰과 청소기, 강아지로 바꿔버렸다.

세 남매의 인간 복귀 작전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책표지만 봐서는 엄마가 마녀일거라는 상상은 하지 못했다.

하지만, 누나들이 핸드폰, 로봇청소기로 , 정이는 사달라고 조르던

강아지로 변하게 되었다.

엄마가 국자로 주문을 걸어서 세 아이를 모두 마법에 걸리게 한

것이다.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기위해 싱크대에 있는 국자를 꺼내려고 누나들의

응원을 받아 노력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핸드폰이 된 큰누나의 기지로 경찰서에 문자신고를 하고 경찰들이 집에

오게 되는 소동까지.

세 아이들은 모든 방법을 동원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싸우다가 서로 힘을

합치게 된다.

'다 카포'

"주문이 없어도 사흘 후면 제자리로 돌아올 수있는 마법이었다. 외갓집에

내려오는 일종의 특별한 능력 같은 것인데, 평생 딱 세 번만 쓸 수 있다고 했다."

(p137)

능력의 대가로 고통을 줄이는 약을 먹지않고 오롯이 아픔을 참은 엄마의

마음이 이해가 되고, 아이들을 주문을 걸어 변신하게 만든 엄마의 마음도 이해된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또 내가 낳았다는 이유로 아이들에게 마법아닌 마법의 주문을

나역시 걸었던 것 같다.

더 이상은 정이엄마가 마법을 쓰는 날이 오지않았으면 좋겠고, 나도 아이들을

좀 더 이해하기위해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구나무집의 잇따른 무시무시한 복수 단비어린이 문학
이상권 지음, 고담 그림 / 단비어린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약하고 어린 강아지를 통해 배우는 용기있게 사는 법

희철이가 태윤이를 괴롭히면서 시작된 복수는

태윤이에서 희철이 동생 호철이에게

호철이는 태윤이네 고양이 흰별이에게

비비탄을 쏘게 되고, 그때부터 복수놀이가

시작되었다.

"어쨌든 희철이이한테서 시작된 괴롭힘이 태윤이와 호철이를

지나 엉뚱하게도 고양이한테까지 이어지고 있었던 거야."(p20)

호철이가 흰별이에게 비비탄을 쏘아댄 날이면, 흰별이가 어김없이

감자를 괴롭혀댔다.

감자의 복수상대는 살구나무가 되고 오줌병으로 복수를 하기

시작하자 살구나무가 시들어갔다. 그런 살구나무를 보는 감자의 마음

은 죽어간다는 것은 무섭고 쓸쓸한 일로 다가왔다.

복수의 시작은 어른들때문이었고, 희철이는 어른들한테 사과를

받고 싶었지만, 그 누구도 원망하지않고 복수를 포기한 감자를 보며,

태윤이를 괴롭힌 것이 미안하고, 다른 동물들이랑 사이좋게

지내려고 생각한다.(p64)

감자가 복수를 포기하고, 살구나무가 다시 살아나는 행복한 결말로

살구나무집의 잇따른 무시무시한 복수는 끝이 난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안타까운 복수 -족제비의 안타까운 복수에 이어

살구나무집의 잇따른 무시무시한 복수 2탄이 빠른 전개로 진행되어

단숨에 읽어내려갔다.

어른들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시작된 복수는 "인간들은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는 게 아니라, 내 편이냐 네 편이냐에 따라서 판단하고 행동

하잖아?"(p32)

라는 문장이 마음에 확 다가왔다.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지 못했던

경우는 없었는지 반성하게 된다.

또, 어린 감자의 용기있는 태도에 가슴이 뭉클해졌다.

복수는 또 다른 복수를 낳는 법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선한 마음으로 넓게 세상을 바라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