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루시 단비청소년 문학
임서경 지음 / 단비청소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속 자리잡은 마음의 빚으로 만들어 낸

자전적 성장소설

작가의 가족이 겪었던 일을 소재로 1970년대 루시와 난숙이네

가족을 담담하게 써내려간 '내이름은 루시'

다문화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이제는 우리가 다문화 아이들을 잘

보듬어서 함께 잘 성장하도록 도와야한다.

흑인아빠와 한국엄마사이에서 태어난 루시는 피부색이 검고,

학교에서 놀림을 받지만, 기죽지않고 당당하다.

루시가 사는 꽃드리 마을 사람들은 루시엄마를 '양공주'라고 부르고,

동갑이자 주인집딸인 난숙은 루시를 구박하지만, 도이와 난숙의 엄마가

든든하게 루시를 지켜줘서 마음이 든든했다.

"가슴속에도 길이 있는 것 같구나."

"죽 한 숟가락을 먹으니, 그리움의 길이 열리는 것 같아.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루시 아빠에 대한 그리움."

"두 번째 죽을 먹으니 사랑의 길이 열리는 것 같아. 난숙이네 가족과

루시 친구들의 따뜻한 사랑."

'죽 세번 째 숟가락, 이번엔 희망의 길로 흘러가는 듯 ..."(p116)

아빠와 만나는 장면으로 해피앤딩이 되어 마음이 편하고 따뜻해졌다.

나도 '내 이름은 루시'을 읽으며 1970년대 배경도 다시 알게되었고,

흑인이라는 이유로 더이상 차별받는 일들이 없기를 바란다.

인간은 평등하고 모두 소중하니까.

시대의 아픔속에서 희생양일 수 밖에 없었던 그들을 진심으로 위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