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열린책들 세계문학 227
헤르만 헤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때 읽었던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다시 읽었다. 워낙 오래 전에 읽었기에 기억이 가물가물했는데, 책을 다시 읽어보니  주인공 싱클레어가 데미안과 친구가 되면서 어떻게 정신적으로 성장하는가를 보여주는 일종의 성장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은 주인공 싱클레어가 상반된 두 세계 사이에서 속해 있음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이 된다. 밝고 환하고 안정된 반듯한 길, 의무와 책임, 약심의 가책과 참회, 용서와 바른 결심, 사랑과 존경, 지혜가 있는 아버지의 집이라는 세계와 전혀 다른, 어둠과 악의 특성을 가진 바깥세계를 소개함으로써 어린 소년이 경험했을 혼란은 동네소년들과 어울리고 싶어하면서도 동네 골목대장같은 프란츠 크로머라는 소년의 위협으로인한 심리적 위축으로 인해 더 강화된다. 하지만, 학교에 전학 온 막스 데미안으로 인해 심리적 안정을 되찾지만, 데미안이 떠나있을 때 싱클레어는 학교생활에서 방황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데미안과의 재회를 통해 다시 안정된 학교생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데미안과 데미안의 어머니 에바부인을 통해 더욱 정신적으로 성숙되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 소설에서 등장하는 명문장은 <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 힘겹게 싸운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라는 5장에 등장하는 문장일 것이다. 이 문장은 데미안이 싱클레어에게 온 편지의 답장이었는데, 인간이 살아가면서 부딪히게 되는 어려움과 고난에 직면할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면의 두려움을 깨뜨려야 함을 잘 보여주는 문장인 것 같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은 주변의 영향에 의해 흔들리기 보다는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며, 내면의 소리가 말하는 대로 살아가야 함을 소설 <데미안>을 통해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