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회사에서는 이상한 사람이 승진할까? - 험난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걸림돌을 비켜가는 48가지 비법
제프리 제임스 지음, 문수민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회사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을 잘한다고 인정을 받기란 너무 힘들다. 일보다는 오히려 상사에게 인사를 잘하고 눈도장을 잘 찍는 사람들이 오히려 인정을 잘 받는 것 같다. 특히 인사고가 시즌이 오면 상사가 평소에 자신에게 잘했던 부하의 평가를 좋게 평가해서 자신의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를 목격하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이 한국사회에만 있는 현상은 아닌가보다. 미국에서 비즈니스 분야에 관한 저명한 파워블로거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제프리 제임스가 쓴 <왜 회사에서는 이상한 사람이 승진할까?>를 보면 우리나라보다 위계질서가 약하고 수평조직문화가 강할 것 같은 미국 회사에서도 자신의 일만 잘한다고 인정받고 승진하는 것이 아니며,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의 관계, 자기관리, 소통, 응급상황 대처, 직장내 정치 등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7가지 주제별로 구성되어 있어 순서대로 읽어도 되지만, 스스로 생각하기에 가장 약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예를 들면, 상사와의 관계가 제일 힘들다면 이와 관련된 부분인 1장을 먼저 읽어도 되고, 소통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5장을 먼저 읽어도 좋은 것 같다.

 

각 장을 구성하는 소주제별로 Tip이 정리되어 있어 책을 다 읽고 나서 필요할 때마다 Tip 부분만 찾아서 읽어볼 수 있어,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이 될 때 참고하기 좋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인적으로 1장 상사와의 관계와 7장 정치술수에 대한 대처방법에 관한 부분이 좋았다. 상사의 유형은 어떠한 것이 있고, 각 유형에 따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유형에 상관없이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는지 등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는 조언들이 많았다. 정치술수가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로 '상대평가'를 언급한 부분은 참 공감이 갔다. 팀 내에서 혹은 동일한 직급간에 정해진 비율로 평가를 받다보니 결국 평가권을 가지고 있는 팀장 혹은 본부장 등을 상대로 정치를 벌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런 회사에 다니고 있다면 내가 스타가 될 수 있는 부분으로 옮겨가 실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런 회사를 다니지 말 것을 조언하고 있는 부분이 참신했다. 이런 기업은 기업의 혁신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엔론과 같이 비윤리적인 행위를 용인하는 분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처럼 책 곳곳에서 소개하는 내용들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느꼈을 고충들이 나열되어 있고 각각에 대해 어떻게 처신하면 좋은가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어 직장생활의 좋은 길잡이가 되는 책이었다. 사무실 책상에 당당하게 꽂아놓고 보지는 못해도 힘들 때마다 꺼내 읽을 수 있도록 책상 서랍에 넣어두면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