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드 THAAD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에 음모론을 소재로 한 <conspiracy theory>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최근에는 정부가 발표하는 내용이나 언론에 보도되는 것이 꼭 믿을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해 준 영화였던 것 같다. 그리고 이 영화를 본 이후로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드는 어떤 사건이 났다 하면 음모론이나 조작설이 나도는 것이 보이기 시작했던 것 같다. 최근에는 위키리스크나 에드워드 스노든을 통해 정부 기밀이 폭로되는 사건들이 발생하다보니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단체행동이나 일방적인 편향을 드는 기사를 보면 누군가가 배후에서 조작하고 선동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의문이 들게 되는 것 같다.

 

김진명의 소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2003)>를 읽었을 때도 적잖이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잘 몰랐던 과거의 사건이지만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이야기였기 때문이었다. 소설 덕분에 생각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해 알게 되었고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되었었다. 또한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부분도 있어 톰 클랜시 같은 미국 소설가의 작품을 연상시켰다. 그 이전에는 애국심 운운하는 것이 고리타분하게 느껴졌지만, 김진명의 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하고,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의 상황을 직시하고 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안목, 더 나아가 이 나라가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김진명의 새로운 신작 <싸드(THAAD)>는 세계경제에서 달러 약세와 미국의 무역수지적자의 이면에 깔린 음모론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책 제목인 싸드(THAAD)는 theater of high altitude area defense missile 의 약자로 미국의 군사기지를 공격하는 적의 중거리미사일을 격추시킬 목적으로 제작된 공중방어시스템이라고 한다. 소설 <싸드(THAAD)>는  미국이 현재 경제적 난국을 타계하기 위한 특히 대(對)중국 무역수지 적자를 타계하기 위한 방법은 전쟁이며 이를 위해 싸드(THAAD)가 한반도에 배치하려는 미국의 음모론을 소재로 하고 있다. 물론 이 음모론을 주도하는 사람들은 미국의 최고위층 몇 사람에 불과하지만 이것을 유추해내는 사람은 의외의 인물이었고 이 인물의 죽음을 파헤치는 과정이 소설속에서 전개된다. 이와 함께 2017년 한국 대선과 관련하여 유력한 후보들에 대한 가상의 보고서가 실려있어 한국의 위태로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현명하게 풀어나갈 수 있는 미래의 지도자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든다.

 

가상의 소설이지만, 개연성있는 이야기의 전개는 김진명 소설이 갖는 매력이며, 이번 소설을 통해서도 올바른 역사인식과 세계에서 한국의 위상에 대해 직시하고, 소설 속 최악의 시나리오가 한국의 현실로 나타나지 않도록 탁월한 국제 감각과 외교 능력을 지니면서 한국의 국익을 지켜나갈 수 있는, 한국의 미래를 위해 올바르고 능력있는 지도자들이 있어야함을 잊지말고 어떤 인물이 적합한 지도자가 될 수 있는지 관심을 가지도록 만들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