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월
존 란체스터 지음, 서현정 옮김 / 서울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여름은 예년보다 무더운 날씨가 예상이 된다고 한다. 몇 년전에도 무더운 여름 날씨로 인해 에어콘 등 냉방기구 사용 급증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여 전력이 부족한 블랙아웃을 경험하였었다. 이러한 날씨로 인한 문제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전세계의 문제이기에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예를 들면, 작년 말 호주 대형 산불 문제가 심각했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한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가운데 자연발화된 산불이 발생하였고, 워낙 넓은 지역에 걸쳐서 발생하다보니 많은 산림이 불타고 많은 동물들이 죽거나 심각한 화상을 입은 사례들이 보도되었었다. 이외에도 북극의 얼음이 계속 녹아내리고 있어 북극곰이 멸종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보도되어 북극곰을 살리기 위한 캠페인이 등장했었다.  


존 란체스터가 쓴 <더 월>은'국립해안방어벽'이라는 해안가를 둘러싼 높다란 벽의 경계초소에 배치된 경계병 '조셉 카바나'의 이야기로, 날씨에 상관없이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경계를 서야 하기에 추위와 외로움, 두려움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주인공이, 외부로부터의 침입으로 인해 침입자의 수만큼 경비에 실패한 이들을 월 밖으로 내쫓는 규칙으로 인해 동료들이과 월 밖으로 쫓겨나 경험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책을 읽으며 HBO의 인기드라마였던 '왕좌의 게임'의 주요 캐릭터였던 존 스노우가 대륙 북쪽의 거대한 얼음벽을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던 장면이 떠올랐다. 매서운 바람을 맞으며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벽 바깥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지킨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며, 침입자로 인해 월 밖으로 쫓겨나 '대격변' 이후 물에 잠긴 세상 속에 버려졌을 때 얼마나 막막했을까 싶다. 이 부분을 읽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강타함에 따라 각 나라들이 국경을 봉쇄하고 외국과의 교류를 중단하고 있는 상황과 자국이 아닌 곳에서 고립되어 힘든 시간을 보냈을 사람들이 생각이 났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탄생하지만, 현실에서 있음직한 상상력의 소산을 볼 때면 작가의 놀라운 통찰력이 느껴지곤 하는데, 존 란체스터 역시 뛰어난 혜안을 가진 작가임을 <더 월>을 통해 알게 되었다. 소설을 읽으며 역시 2019년 부커상 후보작이 될 만한 뛰어난 작품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