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꿈결 클래식 2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백정국 옮김, 김정진 그림 / 꿈결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전 영국 내셔널시어터 공연 실황 '햄릿'을 극장에서 관람했다. 대충의 줄거리는 알고 있었고 좋아하는 배우인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햄릿'으로 출연한 연극이라고 해서 관람했었다. 베네딕트 컴퍼배치 뿐 아니라 혼신의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의 연기가 정말 놀라웠고, 한 공간안에서 펼쳐진 다양한 무대장면들을 통해 완성도 높은 연극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 무대가 아니라 공연실황 영상물이다보니 쉬는 시간 없이 심오한 대사들로 가득한 '햄릿'을 관람하는게 쉽지는 않았었다. 원작을 여러 번 읽어보고 관람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들었었다.
 
뒤늦게 '햄릿'을 읽어보게 되어 감회가 새로웠는데, 책으로 만나는 '햄릿'도 쉽지는 않았다. 등장인물들의 대사에 함축된 의미들을 이해하고 읽지 않으면 수박 겉핣기에 불과하기 때문이었다. 수많은 번역서 중에서 내가 읽은 '햄릿'은 주요한 대사에 등장하는 문장이나 단어가 지닌 의미를 각주를 통해 설명해주고 있다보니 '햄릿'을 읽는데 도움이 되었다. 보통 소설은 이야기의 흐름에 몰입되어 한숨에 읽게 되지만, 연극대본인 '햄릿'은 장면을 생각하면서 읽어야 할 뿐 아니라 각주를 읽으면서 책을 읽어야 하다보니 천천히 읽어야했다. '햄릿'을 읽어보니 셰익스피어의 다른 작품들도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총 5막으로 구성된 '햄릿'을 대표하는 유명한 대사는 3막 1장에 등장한다. 영어 원문인 'To be, or not to be'는 우리말로 번역하기 가장 난해한 문장이라고 한다. 워낙 친숙한 번역문이어서 난해한 문장이었는지는 몰랐는데, 역자의 설명을 보니 다른 문화권의 작품을 의미를 살려 번역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실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외국어로 옮기는 일이 쉽지 않듯이, 두 문화권과 두 언어에 대한 지식과 폭넓은 이해가 없다면 원작자의 의도와는 다른 의미가 전달될 수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영어원문과 번역본을 비교하면서 읽어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를 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후반부에는 이 '햄릿'의 역자인 영문과 교수 백정국 교수의 해제가 실려 있어 셰익스피어의 삶과 문학세계 그리고 햄릿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특히 셰익스피어의 순수 창작물이 아니라 덴마크 수도사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앰릿'이라는 왕자에 대한 사가를 읽고 새롭게 창작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는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이 셰익스피어에도 해당되는 것 같아 흥미로웠다. 앰릿의 줄거리와 두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들을 비교한 표를 보며 얼마나 유사하면서도 다른지를 볼 수 있었다. 또한 '햄릿'에 대한 여러 예술가들과 학자들의 짧막한 악평이 실려 있어 읽는 재미가 있었는데, 위대한 문학작품일지라도 혹평을 하는 이들도 있음을 알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