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당들이 희었을 때 - 새로운 시대의 탄생, 르코르뷔지에가 바라본 뉴욕의 도시
르 코르뷔지에 지음, 이관석 옮김 / 동녘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시대의 탄생, 르코르뷔지에가 바라본 뉴욕의 도시

 

동녘에서 출간한 근대건축의 거장 르코르뷔지에의 <대성당들이 희었을 때>는 그가 뉴욕을 방문하며 느낀 에세이다. 100여 년 전 뉴욕을 처음 방문했을 때 그가 느꼈던 놀라움이 공감된다. 지금도 세계 최고의 도시로 명성을 떨치는 뉴욕의 마천루를 100년 전에 바라본 이의 심정이 어떠했을지는 쉽게 상상이 간다. 우리나라 보빙사도 뉴욕을 방문하고 깜짝 놀란 경험담을 전하는데 하물며 현대 건축의 거장인 르코르뷔지에가 뉴욕의 마천루를 바라보고 어떤 느낌이 들었을지 궁금하다.

 

제목이 <대성당들이 희었을 때>7세기 유럽 고딕 양식의 대성당들이 처음 만들어져 흰색이었을 때 대중이 가졌던 느낌을 20세기 뉴욕을 방문하고 그곳의 마천루를 보고 저자가 기시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새로운 건축 형태의 탄생은 새로운 문화를 가져오고 근대건축이 가져올 경외감과 동시에 이들이 가져올 이면의 모습을 저자는 느꼈다.

 

현대 도시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건축가이자 1930년대 유럽에서 최고 혁신적인 건축가로 자리매김하지만, 정작 본인의 고국인 프랑스의 보수적인 아카데미 인사의 견제로 자신의 계획을 펼치지 못한 그에게 록펠러 센터의 초청으로 이루어진 뉴욕 방문은 정신적인 회복과 동시에 소문으로 들었던 뉴욕의 명성을 직접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뉴욕과 브루클린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다리, 교외로 기차를 수시로 실어나르는 그랜드 센트럴 역, 은행들의 단지인 월스트리트의 강렬한 중심부···뉴욕은 미국의 상징을 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도시였다.

 

도시계획에도 정통한 그에게 건축은 미학적 요소와 더불어 기능성과 효율성이 중요한 요소였다. 간결하고 직선적인 형태와 필로티 형태, "주거는 살기 위한 기계"라는 자신의 이념을 잘 투영하고 있었던 뉴욕을 바라보고 이러한 건축이 인간의 요구와 도시계획을 충족할 수 있다고 바라보았다.

 

미국의 관점에서 뉴욕을 바라보는 장면에서 뉴욕의 현대성과 위대한 점을 발견하고 프랑스와 미국을 대조하고 비교하는 모습에서 뉴욕의 만들기 위해 희생한 노동자들과 마천루의 그늘에 가려진 음영에 대해 고민한다.

 

당대 최고 건축가의 철학적인 고민을 바라볼 수 있고, 100년 전 뉴욕을 보고 느꼈던 사회상을 공감하는데 <대성당들이 희었을 때>는 적격인 도서이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대성당들이희었을때 #르코르뷔지에 #이관석 #동녘 #예술 #건축 #대중문화 #건축가 #건축이야기 #공간 #도시 #파리 #뉴욕 #인문학 #인문에세이 #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