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교양 과학과 미술
노인영 지음 / 문예출판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와 예술가의 본능적인 탐구 욕구를 찾아서

 

문예출판사에서 출간한 노인영 작가님의 <최소한의 교양 : 과학과 미술>은 저자가 느낀 과학자와 예술가의 접점을 소개하는 도서이다. 과학과 예술이 서로 보완하며 발전하는 과정이 있었다는 점은 짐작이 가능한다. 일전에 읽었던 오르한 파묵의 <내 이름의 빨강>은 르네상스 시대 비잔틴 제국의 화가가 베네치아의 원근법으로 그린 작품을 보고 감탄하는 내용이 큰 흐름을 차지한다.

 

원근법의 탄생, 기하학의 발전은 르네상스 미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오스적 인간>은 인체의 수학적 비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해부학적 연구를 통해 인체를 구조적으로 미술로 표현했다. 기하학의 발전은 나일강의 범람으로 내 땅의 경계를 확정하려는 움직임에서 나왔다. 이를 발전시킨 피타고라스는 비례, 음계, 그리고 수에 관한 내용으로 후학에게 영향을 미쳤다.

 

주목할만한 52가지 작품으로 과학과 미술의 접점을 찾아가는 저자의 이야기는 1년이라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가지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는 시간을 갖도록 제안하는 듯하다.

 

렘브란트 초상화에 담긴 두 개의 원과 케플러의 타원이 가지는 흥미롭다. 마찰력이 가장 적어 완벽한 도형이라는 이해되었던 원은 신이 우주를 규칙에 따라 만들었다면 처음으로 떠오르는 도형이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원으로 자신의 의견을 풀어낼 수 없었던 케플러는 브라헤가 남긴 화성 궤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형이 아니라 약간 일그러진 타원으로 궤도를 그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에곤 실레와 제멜바이스의 이야기는 특히 인상적이다. 코비드 시대를 겪으며 손 소독의 중요성이 주목받았고, 이를 떠올리면 항상 제멜바이스는 연관되어 이야기되는 의사다. 에곤 실레의 짧은 생애는 스페인 독감이 있었고, 산욕열의 원인을 확인하고 소독의 중요성을 확인한 제멜바이스의 당시 의사 사회의 손가락질을 받으며 고향으로 돌아가 아내에 의해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구타로 사망했다는 점은 심히 충격적이었다.

 

아인슈타인과 모네, 에셔, 칸딘스키가 연관되어 설명되고, 발라의 닥스훈트와 슈뢰딩거의 관계, 피카소와 양자역학이 어우러지는 이야기는 흥미롭다.

 

평소 인류의 발전은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고, 미술은 당대의 사회를 반영하고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라 생각해 관심이 있었다. 과학과 미술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을 거라는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지만, 저자처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연구하고 이를 한 권으로 책으로 담아낸다는 것은 보통 노력이 아니라 매우 어렵고 힘든 시간을 보냈을 거라 짐작된다.

 

한 권으로 두 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읽어볼 가치가 충분하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최소한의교양과학과미술 #문예출판사 #노인영 #미술 #과학 #교양인문학 #기초과학 #교양과학 #인문학 #예술 #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