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부학자의 세계 - 인체의 지식을 향한 위대한 5000년 여정
콜린 솔터 지음, 조은영 옮김 / 해나무 / 2024년 9월
평점 :

해부학 책으로 본 인체 탐구의 역사 : 인체의 지식을 향한 위대한 5000년 여정
해나무에서 출간한 콜린 솔터의 <해부학자의 세계>는 고대 이집트부터 르네상스 시대와 근대를 지나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약 5,000년 동안 해부학자들이 저술한 150여 권의 책을 소개하는 도서이다. 오늘날 해부학의 성취와 환자들이 보는 혜택은 엄청나다. 몸이 불편해 병원을 찾으면 어디에 병변이나 이상소견이 있는지 초음파, CT, MRI를 통해 확인한다. 해부학자들이 그동안 인간의 신체 구조와 기능을 탐구하고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해부학이라는 학문으로 의학, 예술, 철학에 영감을 주었다.

<해부학자의 세계>는 이집트를 시작으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가 인체의 다양한 기관을 연구했다고 알린다. 고대 그리스인은 인간이 호흡하면 프네우마를 들이마시며 이것이 주요 기관으로 체액을 보낸다고 믿었다.
해부학의 발전은 그리스를 지나 중동의 이븐 시나가 발표한 <의학정전>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이븐시나는 머리에서 발까지 인체의 해부 구조를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은 해부학의 산실이었고,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자신이 해부학을 도와준 교수와 함께 수많은 그림을 남겨 해부학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동시대 예술가들은 인체 해부를 통해 신체를 보다 정밀하게 묘사하게 되었고, 예술과 해부학은 상호보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근대에 이르며 현미경의 발명과 해부학이 결합으로 해부학자는 그동안 알아차리지 못한 세밀한 신체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에 이르러 적혈구 세포를 확인했었고 해부학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시체 거래와 강탈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시신을 사고파는 행위를 엄하게 처벌할 때까지 시신 거래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행위였다.
인간이 지식을 가장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책이라고 생각한다. 해부학자들은 자신이 연구하고 발견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겼고, 이들이 남긴 한 권의 책은 후대의 연구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
<해부학자의 세계>에는 동물을 해부한 그림을 시작으로 태아와 남성과 여성의 장기를 비롯한 기관을 해부한 수많은 그림이 의학 발전과 더불어 어떻게 세밀화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웃 나라인 일본의 해부학자는 네덜란드의 서적을 접하고 빨리 유럽의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였다. 우리나라의 해부학 발전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의료발전의 거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의료기술의 발전이 아주 오랜 시간 수많은 사람의 연구와 노력이 있었음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주변에 의대생이나 의료계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이 있다면 <해부학자의 세계>는 도움이 되는 도서이다.

#해부학자의세계, #해나무, #콜린솔터, #조은영, #과학, #교양과학, #인체, #해부학, #해부, #과학사, #의학, #인체, #의학사, #의사윤리,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컬처블룸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