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이 차린 밥상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정혜경 지음 / 드루 / 2024년 6월
평점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드루에서 출간한 정혜경 교수님의 <문학이 차린 밥상>은 우리 문학 속 음식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진주에 상주하게 되어 관심을 두게 된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에 담긴 음식 이야기가 2장으로 다루고 있어 관심이 간다. 일상생활에서 음식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같은 지역이라도 시대에 따라 우리가 먹는 음식은 종류를 달리했고, 이제는 토속 음식이라 할 정도로 전통 음식을 접하는 기회는 많지 않았다.
지역별로 전통 음식을 담고 있는 사진과 음식에 얽힌 이야기를 한국 대표문학 작품 속에서 찾아가는 여정이 흥미롭다. 요리에 대해 무지하거나 전통 음식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나에게는 <문학이 차린 밥상>은 앞으로 읽고 싶은 문학 작품과 음식에 대해 안내역할을 한다.
작가님은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로 문학을 좋아해 작품 속 음식에 주목하게 되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최명희 선생의 <혼불>, 박완서 선생의 <미망>, 박경리 선생의 <토지> 속에 담긴 음식 이야기가 다채롭다. 과거에 읽었던 등장인물의 심리를 드러내고, 문화를 상기하는데 음식은 큰 역할을 한다.
<혼불>에서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남원 지방의 양반가인 매안 이씨 문중과 지역 주민의 삶을 잘 그리고 있다. 특히 전라도 지방의 일상 음식, 세시 음식과 중요한 관혼상제 속 저자가 그리는 음식은 한민족의 생활과 인생관을 담고 있어 의미 있다.
<미망>을 집필한 박완서 선생은 개성에서 살았던 경험을 살려 개성 음식 문화를 작품 속에 잘 녹여내고 있다. 인삼 홍삼의 재배, 생산지로 유명한 개성은 식문화에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한 번도 먹어보지 못했지만, 저자가 소개하는 개성 음식과 식재료, 이를 완성한 음식 사진은 언젠가 개성에 가고픈 마음과 음식을 먹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 한다.
가장 감명 깊게 읽었던 문학 작품을 꼽으라면 이제는 여지없이 박경리 선생의 <토지>를 먼저 떠올린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하동 평사리, 진주에서 터를 잡은 양반 최씨 가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토지>는 다양한 계층의 삶을 그리고 있어 다채로운 작품이다. 작품 속에 경상도 지방 음식 호박풀떼기, 어포안주, 나물류가 인상적이다. 주인공 서희가 진주에서 터를 잡은 후 등장하는 진주비빔밥은 당대 유명한 음식으로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나라를 잃고 만주로 거주지를 옮긴 후, 힘겨운 민초들의 삶을 지탱해준 음식은 보리죽, 시래기죽, 강냉이죽이다. 식량 사정이 악화해 시래기죽과 강냉이죽으로 허기를 지울 수 있는 게 행복한 시절이었다고 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을 가지는 게 학문의 효용이라고 했던가. 음식과 영양학을 전공한 저자의 해박한 지식 덕분에 무심코 지나쳤던 작품 속 음식이 가지는 의미와 당대 사회를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조상들이 연명하기 위해 궁여지책으로 죽을 만들어 먹었던 걸 보면 안타까움과 지금도 북한 주민은 허기를 느끼는 경우가 많아 그렇지는 않을지 걱정스럽다.
언제부터인지 실용서보다 문학에 주목하게 된다. 작품이 그리는 당대 사람들은 어떤 생활을 했으며 사고를 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문학이 차린 밥상>은 음식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문학 작품을 돌아보게 되는 색다름을 제공한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문학이차린밥상, #드루, #정혜경, #소설, #인묺학, #음식, #토지, #혼불, #미망, #날개, #상록수,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