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인물지 - 유소 『인물지』 완역 해설
이한우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와 도덕경의 핵심만 담은 인사(人事)의 정수

 

중국의 인재술과 용인술을 다루는 고전으로 유소의 <인물지>에 관해 알게 되었다유소는 삼국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조조의 최측근으로 그의 용인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한우 작가님은 유소의 <인물지>를 완역한 <이한우의 인물지>를 출간해 이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한자 원문과 한글 독음 및 주석과 더불어 현대적 해석까지 <인물지>에서 다루는 중요한 내용을 파악하고 싶은 독자에게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한자 공부에 관심 있는 분에게도 유용할 거라 생각한다.

 

<인물지저자인 유소는 인재를 감별할 때 범하는 7가지 오류를 설명한다.

명예를 살피면서 편파적으로 될 수 있다’, ‘자신과 뜻이 달라 장점을 저버린다’, ‘도량의 크고 작음을 헷갈린다’, ‘성취의 빠르고 늦음을 잘못 판단한다’. ‘자기와 같은 유형만을 좋아한다’, ‘그가 처한 상황을 오판한다’, ‘매우 뛰어난지 매우 허황한지 오판한다

 

조직 생활에 몸담거나 정치사회에 관심을 가진 분이라면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를 잘 알고 있다대한민국에서도 정치권은 인사권자가 어떤 인사를 등용하고자 하면 그가 왜 적합한지 부적합한지 시비를 가려 최적의 인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유소가 활동할 당시 중국은 군웅할거의 시대였다조직에 필요한 용인술은 생존과 직결한 문제였다그는 조직에 어떤 인재가 필요하고그 인재의 본성은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천착하며 많은 집필과 시간을 쏟았다.

 

그 결과 인재를 알아보는 단계로 사람의 내면은 겉으로 드러난다는 구징(九徵)과 사람은 타고난 성정과 재질이 다르고각각 그 장단이 있다는 체별(體別)로 이를 설명한다.

 

인재의 분류와 용인의 기술로 재질과 유파에 따라 분류하는 유업(流業), 말하는 능력을 구분하는 재리(材理), 인재를 적시 적재에 배치하는 재능(材能), 인재를 쓸 때 고려해야 하는 장단점을 밝히는 이해(利害), 어떤 인재가 성과를 내는지 파악하는 영웅(英雄)을 통해 설명한다.

 

사람을 평가하는 접식(接識), 인재를 감별하는 여덟 가지 방법인 팔관(八觀), 인재를 감별할 때 생기는 7가지 오류인 칠무(七繆), 인재 발굴과 추천의 어려움을 다루는 효난(效難)으로 결국 인재도 누군가의 천거와 등용이 있어야 빛이 남을 알 수 있다.

 

<이한우의 인물지>는 인물지를 다루는 다른 책과 달리인물지를 최초로 주해한 유병(劉昞)의 주석을 빠짐없이 실었고 저자의 역주(譯註)를 덧붙여 이해를 높였다동양 고전에 관심을 가진 분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한우의 인물지, #21세기북스, #인물지, #이한우, #인문, #동양고전, #고전, #유소, #조조, #인재론, #용인술, #중국, #역사, #세계사, #책과콩나무#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