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긴장 속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개정판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6월
평점 :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긴장 속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매일경제신문사에서 출간한 신병주 교수님의 <참모로 산다는 것>은 조선 시대를 받쳤던 신하들의 이야기다. 조선은 봉건왕조로 구성된 국가였기에 왕을 중심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조선은 왕권과 신권을 팽팽한 긴장 속에서 때론 신권이 왕권을 압도한 적이 적지 않았다는 점은 정국을 주도한 신하를 중심으로 살펴볼 가치가 충분하다.
조선 전문가인 신병주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문화재재단 이사, 문화재청 궁능활용 심의위원, 외교부 의전정책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BS <역사저널 그날>, KBS라디오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했다.
[ 참모로 산다는 것 책날개 중 ]
<역사저널 그날>을 애청하기에 저자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며 이번 도서 <참모로 산다는 것>도 조선 시대 전반을 좌우한 신하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책에서 소개하는 참모는 정국을 주도한 왕을 보좌하는 일은 한 사람을 말한다. 태조시대 건국과 창업을 설계한 정도전을 시작으로 태종 시대의 하륜, 세종 시대를 찬란하게 만든 장영실과 황희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한다.
정도전은 <조선경국전>을 통해 조선 건국의 이념을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강조했다. 하륜이 가장 돋보인 사건은 태조의 도읍지 선정과정에서 드러났다. 태조는 계룡산 일대를 도읍지로 정하려 했으나, 하륜은 이를 반대하여 중지시켰다.
세종 시대는 황희라는 뛰어난 정승과 과학 기술을 발전시킨 장영실이 있었다. 정치과 과학의 발전은 사회발전에 초석이 되었다. 때로는 참모라 부르기보다 간신인 이들도 등장한다. 이들의 등장은 권력자를 나쁜 길로 인도해 폭정을 이끌었다는 점이다. 연산군 시대의 장녹수, 채홍사였던 임사홍이 그들이다.
왕권과 신권이 긴장을 보인 순간은 세조 시대 참모로 등극한 한명회이다. 그는 딸을 왕비로 만들어 성종이 왕위 서열이 뒷순위임에도 왕좌에 등극하게 만든다. 한명회는 자신의 권력을 믿고 오늘날 압구정으로 유명한 그곳에 정자를 짓고 명성을 크게 얻는다. 명의 사신이 압구정을 방문하고자 했을 때, 왕을 상징하는 기를 보내 달라는 요청을 해 왕과 대립한다.
임진왜란을 통해 후세에 기록을 전한 류성룡과 명에 파병을 요청한 외교 업무를 성공리에 완수한 이덕형의 이야기도 인상적이다. ‘오성과 한음’으로 잘 알려진 한음 이덕형은 선조, 광해군 시대의 외교 무대의 최전선에서 활약했다.
의병장으로 유명한 정인홍은 조식 휘하에서 수학해 학문에도 상당한 경지에 도달했으며 광해군 시대 정치 실세로 거듭났다. 총 6번에 영의정에 오른 이원익은 도덕성과 청렴했으며 실무 능력이 뛰어났다. 정조 시대 관료이자 학자로 알려진 정약용은 <목민심서>를 통해 민생 경제의 어려움과 이를 도울 바람직한 관리상을 제시했다. 그 외 참모로 활약한 이들의 면면을 확인하는 것은 조선을 다른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책을 통해 기존에 잘 알지 못했던 성현, 이귀, 김신국, 김육 등 조선의 뛰어난 참모를 알게 되었다.
518년 조선 역사의 주인공은 왕임은 분명하지만, 42명을 참모로 소개한 이들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를 떠받친 선비와 신하는 더 많을 것이다. 조선 시대 전반을 왕을 보좌한 참모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어 역사에 관심을 가진 분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도서이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참모로산다는것, #신병주, #매경출판, #조선, #조선시대, #왕, #참모, #신하, #리더십, #팔로워십, #관료, #실학자, #역사, #왕권, #신권, #국가경영,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