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간병과 돌봄의 무게를 홀로 감당하는 이들의 벼랑 끝 선택

 

나무옆의자에서 출판한 문미순 작가님의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은 근래 읽었던 가장 기억에 남는 소설 중 한 편이다대한민국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하고 있다고령 인구의 증가는 누군가 간병을 필요한다만일 간병과 돌봄을 오롯이 개인이 감당하고 이들에게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었을 때 개인은 어떤 선택을 내릴 것인가?

 

19회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문미순 작가님은 TV 뉴스 속에 등장한 사건을 두 주인공을 내세워 그들이 겨울을 버티고 지나온 방식을 덤덤하게 묘사한다이혼녀 명주는 엄마의 치매가 심해지자 임대아파트에 간병을 하러 들어온다화상으로 발을 다쳐 일하기 어려웠던 명주는 엄마의 연금에 의지한 채 겨울을 보낸다엄마의 사망 후 통장에 입금된 기초연금과 유족연금은 본 순간 그녀는 패륜의 선택을 내리고 엄마의 시신을 방 한편의 관 속에 유기한 채 연금을 수령한다.

 

엄마를 찾아온 진천할아버지는 두 분이 친한 친구였고함께 여행을 가기 위해 돈을 모았다고 하며 어머니의 퇴원을 알려달라고 요청한다딸 은진은 아버지의 재혼으로 새엄마의 눈치에 집을 나가고 돈이 필요할 때마다 명주를 찾아 괴롭힌다.

 

이웃에 사는 청년 준성은 뇌졸중인 아버지를 간병하느라 정규직 일을 못하고 간밤에 대리운전으로 일상을 꾸려나간다아버지는 화상을 입고대리운전한 고급승용차가 사고가 나는바람에 준성의 겨울도 혹독하고 차갑기만 하다외제차주의 연락에 힘겨워하던 준성은 아버지를 목욕시키던 중 실수로 놓치는 바람에 아버지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어떻게 보면 평범한 노부모를 둔 두 가정의 불행은 대한민국 어디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혹독한 현실을 담담하게 드러낸다작가님은 감정의 극단으로 치닫는 환경에서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기에 이 소설은 더 기억에 남는다이혼녀 명주의 딸이 보여주는 이기적인 행동에 반해 성실한 청년 준성의 모습은 명주에게 새로운 희망의 끈을 붙잡게 한다.

 

불현듯 노인을 위한 요양시설에 거주하며 간병과 돌봄을 받는 나의 노후에 관해 생각하게 된다지독하고 자신의 존재를 망각해가는 치매만은 걸리지 않기를 바라며 나를 건사할 수 없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은 설득력 있게 그려진다.

 

노인에 대한 간병과 돌봄은 개인의 문제인가사회는 구조적으로 이를 해결할 방안은 무엇일까소설의 작가 혹은 주변의 경험을 내밀하게 전하며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우리가겨울을지나온방식, #문미순, #나무옆의자, #세계문학상, #소설, #장편소설, #간병, #돌봄, #책을좋아하는사람들, #책좋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