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웹3 웨이브 - 우리의 모든 것을 바꿀 넥스트 빅씽이 온다!
더밀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2년 9월
평점 :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cPtaQ2Ud.jpg)
웹3의 정의와 핵심 기술, 가능성을 심층 분석한 최고의 경영서!
행복한북클럽에서 출판한 더밀크의 <웹3 웨이브>는 웹3의 정의와 기술, 업계 지형도와 창업자 인터뷰, 그리고 다가올 미래를 그리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 팰로앨토에 본사를 둔 ‘더밀크(TheMiilk)’는 저널리즘 기반의 신뢰 있는 콘텐츠로 세상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토대를 만들고 있다. 한국 1등 경제지, 전문지, 실리콘밸리 특파원 출신 베테랑 기자와 석ㆍ박사급 연구원들이 미 현지에서 직접 취재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물리적 경계를 허무는 크로스보더 미디어 플랫폼을 표방한다. 더밀크는 웹3 산업을 이끄는 미국 뉴욕, 덴버, 오스틴 현장과 다양한 글로벌 콘퍼런스를 온오프라인으로 직접 취재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업계 이야기, 핵심 정보를 이 책에 담았다.
[ 웹3 웨이브 책날개 중 ]
웹3라는 말이 들리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미래의 가장 큰 변화의 물결을 주도할 기술로 웹3가 주목받고 있다. ‘더밀크’는 미래를 바꾸는 거대한 변화인 웹3 웨이브를 다루고 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marc-olivier-jodoin-NqOInJ-ttqM-unsplash.jpg)
Photo by Marc-Olivier Jodoin on Unsplash
<웹3 웨이브>는 현재 웹3를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의 현주소를 조망하고, 웹3를 창업한 이들의 인터뷰를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한국의 창업가들은 웹3의 각각 영역에서 자신의 회사를 창업한 이유와 다가올 미래에 자신의 회사가 주력하는 기술 분야를 소개한다.
탈중앙화 거래소 dYdX의 주요한 투자회사인 해시드 파트너, 웹3 커뮤니티 회사를 표방하는 팩트블록, CAN,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회사를 표방하는 슈퍼블록, 다오의 투자를 일으키는 GCR, NFT를 추구하는 오프, 디파이와 웹3를 융합한 체인링크, 블록체인계의 AWS로 불리는 알케미 등 웹3 웨이브를 주도하는 회사를 통해 기술이 어떻게 생활 속으로 접목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웹3가 앞으로 미래사회를 지배하는 근본기술이 될 거라 한다. 지금 당장 핸드폰, 노트북이 없는 일상을 생각해보면 웹이 우리 생활을 얼마나 바꿨는지 쉽게 체감할 수 있다.
웹의 시초는 1989년 3월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의 제안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어 개발되었다. 그 결과 인터넷을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는 연결되었고, 웹 서비스가 서서히 가정에까지 들어왔다. 학교 입학 선물로 데스크톱이 인기였고, PC통신 천리안, 나우누리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는 온라인상의 만남을 경험했다.
메타버스와 NFT 붐이 끝나가던 2021년 12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 “웹3를 본 사람 있어? 난 못 찾겠다.”라는 트윗으로 일약 대중과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머스크는 웹3 의 과장된 마케팅을 비난했지만, 웹3는 다시금 사람들의 화제를 모았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pierre-borthiry-peiobty-vBCVcWUyvyM-unsplash.jpg)
Photo by Pierre Borthiry - Peiobty on Unsplash
웹3는 갑자기 등장한 개념은 아니다. 1998년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Tim Berners Lee)가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이라는 시멘틱 웹을 개발하며 미래를 선도할 웹으로 평가받았다. 문제는 2001년 닷컴 버블 붕괴와 함께 사라져버렸다는 것이다.
웹3가 다시 주목을 받은 건 인공지능의 빠른 발달과 메타버스, NFT의 기술적 근거가 되는 블록체인 기술이 웹3 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어 사람들의 주목을 모았다.
웹2.0의 닷컴 붕괴 이후 생존한 기업들이 ‘플랫폼으로서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공급자 중심의 웹1.0에서 사용자 중심의 웹2.0으로 진화했다. 우리는 양방향 서비스를 시작으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웹2.0의 기치에 충실한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가 만든 세상을 경험했다.
웹3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탈중앙화된 웹’을 특징으로 하고 대표적인 서비스는 디파이(Defi), DAO(다오)이다.
디파이(Defi)는 Decentralized Finance(탈중앙 금융 서비스)의 줄임말로, 중개인인 없는 거래자 대 거래자 간의 금융 서비스를 뜻한다. 즉 은행과 같이 사용자의 거래원장을 관리하고 수수료를 챙기는 곳이 없다. 대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거래원장을 거래자들이 공유한다.
DAO(다오)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자율조직)의 줄임말로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웹3 속성을 지닌 탈중앙화된 조직이다. DAO(다오)는 인종, 성별, 학력, 나이에 상관없이 해당 생태계의 토큰만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여한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DAO(다오)가 대중의 관심을 끈 이유는 서비스에 돈이 몰리기 때문이다. DAO(다오) 참여자들은 코인을 통해 자금을 모으고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수익도 분배받는다. 이들의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다.
저자는 웹3 와 DAO(다오)의 활약상과 미래사회에 발생할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새로운 서비스의 도래를 예측하는 책은 언제나 흥미롭다. 웹3 서비스가 메타버스와 NFT의 거대한 흐름을 이어받아 인간의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줄 수 있을지 기대된다.
테라 사태로 불어닥친 ‘암호화폐의 겨울’ 시기는 마치 닷컴 버블이 붕괴하였던 시기와 유사하다. 그런데도 우리가 주목할 점은 벤처캐피털 투자금의 동향과 블록체인 기술을 주도할 회사가 어디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웹3는 NFT, 디파이, 다오를 포함하는 세 번째 인터넷을 의미한다. 다가올 <웹3 웨이브>를 주목할 분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웹3웨이브, #넥스트빅씽, #NFT, #메타버스, #새로울물결, #경제경영, #더밀크, #손재권, #박원익, #김세진, #윤영진, #박윤미, #김현지, #최미영, #김인순, #다오, #디파이,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