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담 싸부 - Chinese Restaurant From 1984
김자령 지음 / 시월이일 / 2022년 8월
평점 :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lh6T2Fhz.jpg)
모든 것을 잃고 난 후 알게 된 주방 밖의 세계
시월이일에서 출판한 김자령 작가님의 <건담 싸부>는 중국집 주방장의 요리 인생과 중식당 ’건담‘을 통해 우리 인생 이야기를 들려준다.
소설 속 주인공 ’두위광‘은 펑즈(미친 사람, 미친놈)라는 말을 듣는다. 그는 전설의 청요리집 ’건담‘의 노주사(나이 든 화교 요리사)였다. 건담은 1980년대 중반, 명동 최고의 청요리집이었다. 당시 건담의 명성은 대단해 청와대에서 대통령을 비롯해 정·재계 인사들이 드나들었고 청와대에서 요리를 갖다 나를 정도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두위광은 중국 산동성 출신의 화교로 연희동에서 살았다. 매일 아침 새벽 4시에 일어나 음식 재료를 준비하고 요리에 진심으로 열정을 쏟았다.
40년 경력의 위관에게 요리는 자신을 드러내는 하나의 과정이었다. 손은 저울이었고 눈이 온도계였다. 향을 맡는 코는 예리했고, 맛을 보는 혀는 날카로웠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lasse-bergqvist-ro3H4mJIArA-unsplash.jpg)
Photo by lasse bergqvist on Unsplash
어느 날, 자기 생각과는 달리 실수가 잦아지고 맛과 향을 예리하게 구분하던 시절을 과거지사 되었다. 이런 것인 인생의 순리를 받아들여야 하는 시간인 걸까? 그는 그동안 쌓아온 아집에 갇혀 자신의 변화를 인정할 수 없었다. 직원들에게 뾰족하게 대하기 일쑤였고, 손님들과 종종 마찰을 일으켰다.
자신이 가르친 요리사들이 새로운 식당을 개업해 중국요리를 처음으로 한국에 도입했다면 홍보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고 위광을 속으로 욕을 퍼붓는다.
마침내 위광의 ’건담‘은 폐업하기에 이르는데….
소설 속에서 등장하는 중국요리는 마치 ’백종원 3대천왕‘, ’스트리트 푸드 파이트‘에 등장하는 요리의 순간을 화면으로 전하듯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중식을 좋아해 주로 먹었던 요리가 주방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돌아보는 것은 재미있었다. 중식을 배우기 위해 오랜 기간 월급도 받지 않고 일을 배웠던 제자들의 성장을 보며 위광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은 계속하기 위해선 스스로 변해야 한다고 각성한다.
이를 위해 가보지 않았던 길을 걸어보고, 자신이 생각이 머리에 피가 고인 것처럼 틀에 박혀 있지는 않았는지 고민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평생을 보낸 주방에서 벗어나 바깥세상을 보기로 한다.
세상은 위광이 주방에 있는 동안 많이 달려져 있었다. 중식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식당이 존재했고, 손님들도 자신이 이애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요리가 나오자 사진을 찍고 평론을 하며 요리를 가지고 놀았다. 자신이 변해야 한다는 마음가짐과 행동을 통해 위광은 잃어버린 감각을 회복하기에 이른다.
우리는 먹고사는 행위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 요리사는 손님에게 음식을 먹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위광은 자신의 고집을 꺾고 주위에 있는 사람과 손발을 맞춰가는 것이 독단적으로 일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등장하는 요리를 준비하는 과정과 자신만의 희로애락의 굴곡을 가진 인물들의 화합이 돋보이는 <건담 싸부>는 한 편의 잘 만들어진 영화를 보는 느낌이다. 모르긴 해도 누군가는 이 소설을 영화화하기 위한 대본으로 활용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pooja-chaudhary-q66grqqHpDQ-unsplash.jpg)
Photo by Pooja Chaudhary on Unsplash
장인의 인생사를 돌아보고 인생의 의미를 찾아간다는 점에서 <건담 싸부>는 많은 생각거리를 던진다. 중식당을 운영하는 절친한 화교 지인이 있어서 <건담 싸부>에 등장하는 두위광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왔다.
중식 요리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건담 싸부>는 두위광과 그를 둘러싼 개성 있는 인물들의 조화를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중식당에서 처음 주방에서 들어서면 단계적으로 올라가는 과정이 오랜 수련의 시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과 과연 원조라고 알려진 수많은 식당의 진짜 원조는 과연 누구일까? 라는 궁금증도 더해진다.
부산의 유명 중식당이 일하는 직원을 구할 수 없어 폐업하게 되었다는 뉴스를 보았다. 문득 연희동에 있는 <건담>에 찾아가 탕수육과 볶음밥을 먹고 싶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건담싸부, #시월이일, #김자령, #국내문학, #소설, #중국집, #중식, #중식당, #음식, #국내소설, #장편소설,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