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의 예술 - 포스터로 읽는 100여 년 저항과 투쟁의 역사
조 리폰 지음, 김경애 옮김, 국제앰네스티 기획 / 씨네21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스터로 읽는 100여 년 저항과 투쟁의 역사

 

한겨레출판의 조 리폰이 저술한 <저항의 예술>는 국제앰네스티와 함께 뽑은 140여 개의 인권 포스터에 담긴 의미를 소개하는 도서이다.

 

주요한 주제는 난민기후변화페미니즘인종차별, LGBTQ, 전쟁과 핵무기 반대’ 등 전 세계 7개 주요 이슈에 대한 지난 100여 년간의 인권·환경 운동을 다룬 포스터들과 설명이 담고 있다.

 

지난 100여 년은 인권에 있어 새로운 도약이 일어났다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본격적으로 나타났으며인류는 자유와 권리를 위해 차별과 맞서싸우며 저항의 역사를 거쳤다.

 

권력에 대항한 저항은 필연적으로 위협과 폭력을 마주했으며 예술가들은 자신의 재능으로 목소리를 냈다. <저항의 예술>은 인종 차별과 난민과 이민자 문제여성의 해방과 자유성 정체성이 장벽이 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포스터를 보여준다.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그동안 수많은 저항과 투쟁의 결과라는 점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것은 소중하다전쟁과 핵무기를 지양하고사상이 다른 사람을 포용하고기후 위기를 피하기 위한 노력을 담은 포스터는 보는 이들의 행동을 촉구한다.

 

예술가의 작품은 관객에 의해 참여를 독려하고 공동체 행위라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세계 각국에는 지금도 차별받고 있는 노동자여성소수민족흑인아시아인난민성소수자장애인 등을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로 배척하는 문화가 팽배해있다권력층은 개인의 자유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여념이 없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추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시위이다예술가의 작품은 군중의 저항에 기름을 끼얹는 역할을 한다스페인 화가 고야의 판화 연작 <전쟁의 참상>, 피카소의 <게르니카>는 전쟁으로 인한 인간의 공포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저항의 예술>은 여성의 할례를 금지하고참정권을 공평하게 가지며여성에 대한 노골적인 불평등을 지적한다또한 전쟁의 부당함과 가장 큰 전쟁의 피해자는 아동과 여성임을 지적한다.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호주에서 벌어진 차별 조치의 부당함을 포스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기후 위기의 심각함을 알리는 포스터는 일상에서 환경을 보호하는 조치에 관해 환기한다.

 

예술가의 포스터현수막구호는 일종의 의식을 표현하고 대중에게 예술성과 메시지를 전달한다.

 

<저항의 예술>은 지난 100여 년 세계 곳곳에서 펼쳐진 차별에 저항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지구를 지키기 위한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포스터가 상징하는 그림 이면에 자리한 인간의 고통과 유혈이 흐리는 모습을 생각하니 지금 내가 누리는 자유와 권리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었고지금 이 시각에도 차별과 전쟁의 고통을 느끼고 있을 지구촌 다른 개인의 아픔에 공감하게 되었다.

 

국제앰네스티와 함께 뽑은 140여 개의 인권 포스터를 세부적으로 찾아보고 지금도 진행 중인 사안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필요한 행동을 취하는 것은 인간 존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저항의예술, #한계레출판, #조리폰, #국제엠네스티, #예술, #미술,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