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스크 프레임 : 위기를 보는 관점을 바꿔라
미셸 부커 지음, 신현승 옮김 / 미래의창 / 2022년 7월
평점 :

“리스크를 대하는 태도가 지금의 당신을 만든다”
미래의창에서 출판한 미셸 부커의 <리스크 프레임>은 리스크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관해 이야기한다. 영어 원제는 “YOU RAE WHAT YOU RISK”에서 짐작하듯 리스크를 대하는 태도가 당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미셸 부커는 경제 용어 ‘회색 코뿔소(GRAY RHINO)’를 창안한 세계적인 리스크 관리 전문가다. 그녀는 이 용어를 제안해 사람들에게 예상 가능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리스크에 대해 경고했다. 세 번째 저서인 《회색 코뿔소가 온다》는 금융시장과 세계 각국 정부의 정책과 기업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전략 컨설팅 기업인 그레이 라이노 앤드 컴퍼니(GRAY RHINO & COMPANY)의 설립자다.
[ 리스크 프레임 책날개 중 ]
저자는 리스크 관리 전문가로 리스크 전략을 대하는 개인과 기업, 국가에 이르는 큰 틀을 제시한다. 개인의 경우,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이 자신의 건강을 대하는 태도는 사뭇 다르다. 자신의 건강을 과신하며 혹은 건강 문제를 애써 외면하는 전략을 취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건강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해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생활 개선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사람이 있다.
우리의 삶과 인생을 대하는 태도가 리스크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시작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기존의 별로 염두에 두지 않았던 방법이라 나에게는 새롭게 다가왔다. 이는 개인적 관점에서 내가 현재, 혹은 미래의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점검하게 했다. 주로 건강, 경제적 문제, 인간관계에서 다가올 리스크를 산정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준비하게 했다.
우리가 피할 수 없는 리스크는 미루고 싶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이를 관리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저자는 화제작인 <회색 코뿔소가 온다>에서 불확실한 상황에서 어떻게 위기를 발견하고 대응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전작이 정책가와 기업가들을 염두에 두고 썼다면, <리스크 프레임>은 개인적 차원에서 리스크 관계를 이해하고 개선하려는데 중점으로 둔 것으로 보인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른 것처럼 우리는 각자 고유의 리스크 지문을 가지고 있다. 근본적으로 성격의 특성에서 비롯된 리스크 지문은 성별,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리스크를 감내할지 민감하게 대할지 태도를 결정하고, 리스크를 인식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리스크 프레임>에서는 개인적으로 리스크를 성공적으로 관리한 사례를 제시하며 개인의 리스크 관리가 결국 사회의 리스크 관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의 리스크 관리가 확장하면 글로벌 리스크에 관해 생각하게 된다.
우리나라를 돌아보면 경제발전을 이루는 과정에서 속도와 규모를 강조하고 질보다 양을 우선시해 리스크 관리는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었다. 개인은 장기간 노동을 제공하는 것이 당연했다. 단기간 내 생산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한 시절이었다. 이제는 리스크를 새롭게 인식하고 개인에서 시작해 새롭게 리스크를 바라보고 관리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팬데믹 이후 사회는 불확실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리스크 프레임>은 어떻게 리스크를 인식하고 관리해야 하는지 힌트를 줄 것이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리스크프레임, #미셸부커, #신현승, #미래의창, #회색코뿔소, #리스크관리, #리스크, #행동전략, #책좋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