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 - 당신이 모르는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재구성
미켈 보르크-야콥센 지음, 문희경 옮김 / 지와사랑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이 모르는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재구성

 

지와사랑에서 출판한 미켈 보르크 야콥센의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은 그동안 궁금했던 프로이트의 저작에 등장하는 환자를 소개한다꽤나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프로이트는 자신의 이론에 맞게 환자를 분석한 건 아닌지 의문을 가지게 한다이 책은 저자가 프로이트에게 정신분석을 받았던 환자 38명의 기록을 25년 동안 추적하며 자신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결과물이다.

 

저자인 미켈 보르크 야콥센은 1951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났다. 1981년에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자크 데리다와 자크 라캉과 사상적으로 소통한 철학자인 필립 라쿠 라바르트와 장 뤽 낭시에게 수학했다이 대학에서 프로이트를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파리 뱅센대학교 정신분석학과에서 강의를 시작했다정신의학정신분석최면의 역사와 철학에 관한 논문과 책을 다수 집필했으며약 16권이 9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 책날개 중 ]

 

           Photo by Leyre on Unsplash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신경과 정신과 의사로 의학자심리학자철학자로 정신분석학을 창시해 세상을 놀라게 한 인물이다그의 대표작인 <꿈의 해석>은 그가 처음 제사한 개념을 아니다테어도어 곰베르츠는 34년 전 <-해석과 마법>으로 꿈의 해석에 관한 저서를 출판했으나환자의 다양한 사례를 통한 이론을 전개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꿈을 관찰하면 우리의 욕망과 욕구를 분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그는 자아에 대한 해석을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가능하고꿈을 관찰하는 것이 주요한 열쇠로 보았다.

 

다만 지나치게 성적인 욕구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당대의 분석가 중 일부는 동의하기 어려웠던 점이기도 하다그와 학문적 교류를 한 카를 구스타프 융도 이 지점에 학문적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해 정신분석학회에서 떨어져 나가 분석심리학회를 설립했다.

 

프로이트는 자신이 분석한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니셜이나 암호로 표현했다.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은 프로이트의 환자 사례에 집중했다단순하게 훈련을 받았거나 지적 호기심으로 상담한 사람은 배제하고상당한 기간 치료를 목적으로 프로이트를 찾았던 환자만 다루었다.

 

놀라운 점은 격동의 20세기유럽의 중심지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펼쳐지는 당대 실력자의 내밀한 질환을 알 수 있다는 점이다로스차일드가와 투자 관계를 맺었던 이들도 아내와 연인과 사랑과 갈등불륜으로 신경증을 앓았던 이가 많았고프로이트는 이들을 상당한 기간 때로는 30년 이상 치료한 것으로 보인다.

 

        Photo by daniel plan on Unsplash

가장 놀라운 점은 책의 표지에 등장하는 여인의 정체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체계화하는데가장 가까이에서 그가 지켜보고 상담했던 이는 그의 가족이다프로이트의 초기 사례 중 최면요법으로 치료된 사례로 알려졌던 환자는 실은 그의 부인인 마르타 베르나이스였다환자 오빠의 사춘기의 성적 방종으로 신경쇠약에 걸렸던 부인은 자녀를 출산했고자녀에게 젖을 먹이지 못할 정도로 통증을 앓았다프로이트는 그런 부인을 두고 처제와 내연 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부인과 여러 면에서 달랐던 여동생 민나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정통했으며 손님이 오면 맞이했고둘이서 유럽 여행을 떠나 호텔에 부부로 서명하기도 했다.

 

두 사람이 죽은 후 부인은 비로서 자신이 가지고 있던 지식을 드러내게 되었다마르타는 프로이트보다 여동생인 민나와 흉금을 터놓은 사이로 지냈고프로이트는 이니셜로 처리한 자신의 부인을 오랜 기간 상담하며 최면 치료로 병을 고친 것으로 발표했다.

 

그의 가족은 프로이트의 영향으로 환자를 분석하고 때로는 자신이 환자가 되어 프로이트에게 상담을 받았다책의 표지에 등장하는 이는 프로이트는 딸이 안나 프로이트로 아버지가 금기시했던 자위행위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고 정신이 흐리멍텅해졌다고 한다안나는 스물두 살에 분석을 받기 시작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계승했다안나를 대상으로 분석한 논문이 <매 맞는 아이>라고 하며 안나의 환상에 대해 오이디푸스적 열쇠를 내놓았다.

 

그녀는 프로이트가 구강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아버지를 떠나지 않기로 맹세했다마치 아트레우스가의 비극에서 늙은 오이디푸스를 딸 안티고네가 되었던 것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특성으로 무의식을 정립했다는 점에서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이 광범위하다.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을 통해 프로이트는 자신의이론에 환자의 사례를 유리하게 분석한 정황이 넉넉한 것으로 보인다사실 정신분석학에 대해 알지 못하는 일반인 입장에서 1차 세계 대전 직후의 빈의 유대인과 브루노 발터를 비롯한 오페라 감독또는 예술계를 선도한 유명인의 질환과 이를 치료하는 프로이트의 과정을 접하는 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독서였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프로이트의숨겨진환자들, #지와사랑, #미켈보르크야콥센,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